본문 바로가기
2008.05.23 02:14

수자리와 정지

조회 수 809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자리와 정지

땅이름

고려가요 <청산별곡>에 나오는 ‘에정지’는 양주동의 <여요전주> 이후로 경상 방언 ‘부억’을 뜻한다고 푼다. 부엌에 해당하는 ‘정지’가 있다고 해서 “가다가 가다가 드로라 에정지 가다가 드로라”를 ‘부엌에 가다가 듣는다’로 푸는 건 부자연스럽다.

땅이름에는 정자·군막 같은 인조물에서 비롯된 것들도 많다. 넓은 들이나 수려한 경관을 배경으로 정자를 짓고 나그네들의 쉼터로 이용하거나 은둔의 근거지로 삼는 경우가 많았다. 정자가 있던 마을에는 으레 ‘정자골’이 생겨난다. ‘정’(亭)은 또한 역참·군막을 일컫기도 했으니 ‘수자리’와도 관련이 깊다. 신라 때 군사 제도인 ‘9정’ 역시 수자리와 관련을 맺는다. ‘수자리’의 수는 ‘지킬 수’[守]와 음이 같고, 이는 ‘술·숯’과 음이 유사하다. 따라서 ‘수자리’ 대신 ‘술골·숯골’이 생겨나며, 이런 땅이름은 ‘술 주’[酒], ‘숯 탄’[炭]을 가져다 ‘주곡·주동·탄곡·탄동’으로 바꾼다. 이쯤 되면 ‘수자리’의 본뜻은 사라지고 술이나 숯과 관련된 땅이름처럼 여겨진다.

‘에정지’는 ‘어정지’(於亭地)로 보는 게 타당할 듯싶다. 고시조에서 한자어 ‘어혈지다’를 ‘에혈지다’로 표기한 사례가 있듯, 어조사 ‘어’(於)를 ‘에’로 발음하는 것은 흔하며, ‘정지’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이다. <청산별곡>은 ‘사슴탈을 쓴 배우가 장대에 올라 해금 켜는 것을 듣는 장면’을 그렸으므로, 굳이 부엌에 가다가 들었다기보다 ‘정지’에 가다가 들었다는 뜻으로 푸는 게 자연스럽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1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7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750
356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168
355 참꽃마리 바람의종 2008.05.29 5955
354 장보고·논복 바람의종 2008.05.29 8746
353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42
352 차별1 바람의종 2008.05.27 7113
351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8007
350 홀아비바람꽃 바람의종 2008.05.25 8459
349 대장금②·신비 바람의종 2008.05.25 9435
348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909
347 에두르기 바람의종 2008.05.24 7019
»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090
345 짚신나물 바람의종 2008.05.23 7015
344 대장금①/능금 바람의종 2008.05.22 8249
343 다듬은 말 바람의종 2008.05.22 5649
342 군말 바람의종 2008.05.13 7368
341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301
340 갈대 바람의종 2008.05.12 6590
339 막덕·바리데기 바람의종 2008.05.12 8236
338 사변 바람의종 2008.05.11 5977
337 연설 바람의종 2008.05.11 6785
336 은냇골 이야기 바람의종 2008.05.10 6629
335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4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