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1 01:00

연설

조회 수 680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연설

언어예절

혼자서 큰 소리로 좀 길게 한다는 것 말고는 한 사람 앞에서 하는 얘기든 여럿 앞에서 하는 얘기든 다를 게 없다. 잘하자면 숱한 연습이 따라야 한다. 대선·총선을 거치면서 거리 연설도 들을 터이다. 때와 곳, 청중 따라 화제야 다르겠지만 인사는 비슷하다.

말 첫머리에 다중을 아울러 부르고 시작하는 건 만국의 관례다. 인사말은 ‘반갑습니다, 안녕하십니까, 안녕하세요 …’로 단순해져 간다. 한편 “○○○ 여러분! 안녕하십니까?”에서 청중이나 상대 따라 ○○○이 달라진다. 이것이 부름말이다. 아이들은 ‘예!’라고 대답하지만 어른들은 시큰둥 마음으로 답한다.

“여러 동포들/ 나의 사랑하는 삼천만 동포들이여, 친애하는 애국동포 여러분, 친애하는 5천만 동포 여러분/ …/ 친애하는 국민 여러분, 북녘땅과 해외에 계시는 동포 여러분, 친애하는 6천만 동포 여러분/ 친애하는 6천만 국내외 동포 여러분/ 친애하는 7천만 동포 여러분/ 존경하고 사랑하는 국민 여러분/ 존경하는 국민 여러분” 역대 대통령들 연설에서 나온 부름말들이다.

민족·동포·국민에 사랑·친애·존경하는 등의 모자를 씌워 ‘여러분!’으로 뭉뚱그린다. 말 중간에서는 그냥 ‘국민 여러분’이다. 이승만·윤보선·박정희 대통령은 자신을 ‘나·내’, 최규하·전두환 대통령은 ‘본인’, 노태우 대통령은 ‘저·제’, 김영삼·김대중·노무현 대통령은 ‘저’라고 일컬었으며, 두루 말끝은 ‘합쇼체’로 높였다. 치우친 보기이긴 하나 60여년 사이 형편을 짚을 수 있다.

좀더 마땅한 부름말을 찾는 것도 숙제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82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43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412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209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201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306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23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200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403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11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184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934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763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929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913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881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836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823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139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084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831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803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811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900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8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