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5.10 16:19

둥글레

조회 수 755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둥글레

풀꽃이름



날씨가 쌀쌀한데, 생각해 보니 난로 위에서 끓는 주전자의 따뜻한 김을 본 지도 꽤 오래된 듯하다. 주전자에 넣어 끓이던 차들도 이제 간단한 티백으로 바뀌고 정수기 물을 부어 마신다. 요즘 사람들에게 ‘우려내는’ 일은 답답하고 지루할지도 모른다.

‘둥굴레’는 요즘 차로도 많이 마시는데, 뿌리줄기를 우려내면 땅콩같이 고소한 맛을 느낄 수 있다. 신속이 지은 <신간구황촬요>(1660)는 기근 구제법에 관한 책인데, 콩을 물에 불렸다가 짓씹어 먹으라는 내용 등을 보면 무척 마음이 아프다. ‘둥굴레’는 ‘둥구레’로 적었고 무릇과 송피와 함께 고아 먹으라고 썼다. 그래서인지 ‘죽네풀’이라는 별명도 있다.

‘둥굴레’는 말맛과 같이 모양을 본받은 말일 터인데, 잎도 모나지 않고, 동그란 열매가 줄줄이 달려서 ‘둥굴레’라고 이름 붙인 듯하다. 그러나 꽃 모양으로 말미암아 ‘괴불꽃’이라고도 했다. ‘괴불’은 어린아이 주머니 끈 끝에 차는 세모 모양의 조그만 노리개다.

옛사람들이 ‘살고자’ 마셨던 둥굴레의 차맛이 오늘날 ‘별다방’(스타벅스)이나 ‘콩다방’(커피빈스)보다 못하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7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40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104
3106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727
3105 떼부자 바람의종 2007.10.08 11977
3104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660
3103 단소리/쓴소리 바람의종 2007.10.09 11838
3102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498
3101 얼과 넋 바람의종 2007.10.10 8610
3100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1389
3099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677
3098 감안하다 바람의종 2007.10.12 15365
3097 새말 만들기 바람의종 2007.10.12 7859
3096 (공장)부지 바람의종 2007.10.13 7856
3095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938
3094 기라성 바람의종 2007.10.14 7645
3093 쉬다와 놀다 바람의종 2007.10.14 10515
3092 납득하다 바람의종 2007.10.16 9365
3091 방언은 모국어다 바람의종 2007.10.16 9099
3090 단수 정리 바람의종 2007.10.17 16388
3089 청소년의 새말 바람의종 2007.10.17 11449
3088 대합실 바람의종 2007.10.18 8925
3087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9295
3086 수순 바람의종 2007.10.19 10408
3085 분루 바람의종 2007.10.19 113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