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2 08:32

술이홀과 파주

조회 수 756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술이홀과 파주

경기도 파주는 백제 지역으로 ‘술이홀’이었다. 땅이름에서 ‘술’은 한자어 ‘봉’(峯)으로 맞옮기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경덕왕 때는 ‘술이홀’이 ‘봉성현’으로 바뀌었다. 또한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백제의 ‘아술현’이 ‘음봉현’으로 바뀌었으며, 우술군(雨述郡)은 비풍군(比豊郡)으로 바뀌었다는 기록도 나온다. ‘풍’의 옛날 발음이 ‘붕’이었음을 고려한다면, 우술군의 ‘술’도 ‘봉’(峯)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땅이름에 쓰이는 ‘수리’는 우리나라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리봉’, ‘수릿재’, ‘수릿골’, ‘수리못’ 등이 이에 해당한다. ‘술이’는 말소리가 ‘수레’와 유사하다. ‘수레’의 옛말은 ‘술위’였으므로, ‘술이’와 ‘술위’는 서로 바뀌어 쓰일 수 있다. 이러한 보기로는 ‘수릿고개’가 ‘차령’(車嶺)으로 불린 데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것을 생각해 보면 ‘수리’는 단지 ‘봉우리’만을 뜻하는 말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땅이름에 나타나는 ‘수리’는 보통 작지만 둥근 모습을 띤 형세를 표현한다. ‘수리봉’이나 ‘수리못’은 둥근 봉우리와 연못을 나타내고, ‘수리바회’는 둥근 바위를 뜻한다. ‘강강술래’가 둥글게 추는 춤을 뜻하며, 궁중 나인을 뜻하는 ‘무수리’는 ‘물’에 ‘수리’가 붙은 말이니 물동이를 이어 나르는 신분이었다.

파주를 ‘술이’라고 한 건 감악산과 노고산, 개명산 등과 같이 두루뭉술한 산세와 임진강이 굽이져 흐르는 모습이 어우러진 까닭이라고 할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17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6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666
3149 가차없다 바람의종 2007.04.28 10601
3148 가책 바람의종 2007.05.25 11539
3147 가파르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2.07 8535
3146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722
3145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39
3144 각광 바람의종 2007.05.28 5655
3143 각둑이, 깍둑이, 깍두기, 깍뚜기 바람의종 2009.11.09 14405
3142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235
3141 각축 바람의종 2007.05.28 6069
3140 간(間)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2.27 11571
3139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444
3138 간이 부었다 바람의종 2007.12.26 11786
3137 간절기 바람의종 2012.05.11 12174
3136 간지 바람의종 2009.03.03 8297
3135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622
3134 간지는 음력 바람의종 2010.01.20 13384
3133 간지럽히다 바람의종 2009.02.12 9425
3132 간지르다, 간질이다 바람의종 2009.08.03 8600
3131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387
3130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7921
3129 갈갈이, 갈가리 바람의종 2008.10.30 74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