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20 03:38

기윽 디읃 시읏

조회 수 1098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기윽 디읃 시읏

남녘의 현행 한글맞춤법에서 ‘ㄱ·ㄷ·ㅅ’의 이름은 ‘기역·디귿·시옷’이다. 북녘의 조선어철자법에서는 ‘기윽, 디읃, 시읏’이다. 다른 자음의 이름은 모두 같다. 자음 이름에는 규칙이 있다. 자음에 모음 ‘이’를 결합한 첫 음절과, 모음 ‘으’에 해당 자음을 결합한 둘째 음절을 이름으로 한다. ‘치읓·키읔·티읕·피읖·히읗’ 등이 그것이다.

이런 차이는 왜 생겼을까? 한글 자음과 모음의 이름은 최세진이 1527년에 지은 ‘훈몽자회’에서 비롯되었는데, 관습적으로 쓰이는 이름을 인정한 남녘 규범과 통상적인 이름을 규칙에 맞도록 바로잡은 북녘 규범의 차이 때문이다.

훈몽자회는 어린이용 한자 학습서인데 한자 공부를 위해 한글(훈민정음)로 음을 달았다. 이 책에 한글의 쓰임과 음을 익힐 수 있도록 한글 자음과 모음을 한자로 소개했는데, 그것이 한글 자모 이름으로 굳어진 것이다. ‘ㄱ’을 ‘其役’(기역)으로 적어서 ‘기’의 첫소리와 같고, ‘역’의 끝소리와 같다고 설명한 것이다. ‘ㄴ’은 ‘尼隱’(니은)으로 적었다.

‘ㄱ·ㄷ·ㅅ’을 ‘기역·디귿·시옷’으로 적은 이유는? 한자 가운데 ‘윽, 읃, 읏’으로 발음되는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윽’은 발음이 비슷한 ‘역’(役)으로 적고, ‘ㄷ’은 ‘池末’으로, ‘ㅅ’은 ‘時衣’으로 적은 뒤 ‘末, 衣’에는 표시를 해 두었다. 그 표시는 훈독, 곧 한자의 뜻으로 읽으라는 것이다. ‘귿 말’(끝 말)자를 ‘귿’으로 읽고, ‘옷 의’자를 ‘옷’으로 읽으면, ‘디귿, 시옷’이 된다. ‘池’는 16세기에 ‘디’로 발음되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76
3150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41
3149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이제 '본전생각' 좀 버립시다 風文 2022.02.06 1175
3148 프레임 설정 風文 2022.02.06 2031
3147 언어적 자해 風文 2022.02.06 1498
3146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IMF, 막고 품어라, 내 인감 좀 빌려주게 風文 2022.02.01 1441
3145 순직 風文 2022.02.01 1277
3144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360
3143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317
3142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334
3141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232
3140 아줌마들 風文 2022.01.30 1247
3139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308
3138 정치의 유목화 風文 2022.01.29 1480
3137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268
3136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373
3135 말과 공감 능력 風文 2022.01.26 1124
3134 정당의 이름 風文 2022.01.26 1259
3133 법과 도덕 風文 2022.01.25 1251
3132 연말용 상투어 風文 2022.01.25 1190
3131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305
3130 야민정음 風文 2022.01.21 1276
3129 쇠를 녹이다 風文 2022.01.15 171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