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4.01 12:39

가야와 가라홀

조회 수 711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가야와 가라홀

땅이름에는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바탕말들이 스며들어 있다. 그러나 꼴과 뜻이 바뀌어 고유명사로 쓰일 때는 그 말이 어디에서 비롯된 것인지 낯설 때도 많다. 옛나라 이름 가운데도 이런 것들이 많다. <삼국유사>의 ‘가야’ 쪽 기록도 마찬가지다.

‘수로왕’이나 ‘5가야’의 명칭은 모두 고유명사다. 이들 가야는 모두 ‘가라’ 또는 ‘가락’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 점에서 양주동이나 최남선은 ‘가야’의 어원을 ‘가람’과 관련지어 풀이한 바 있다. ‘가람’은 ‘강’을 뜻하는 옛말이다. 낙동강 하류의 여러 갈래마다 나라가 세워지고, 그 나라 이름이 ‘가라’ 또는 ‘가야’가 되었다는 뜻이다. 이에 반론을 제기하는 견해도 있다. ‘가람’이 낙동강에만 해당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다. 그런데 이병선의 <한국고대지명연구>에서는 <고려사>의 “간성현(杆城縣·강원도 간성)은 본디 고구려 수성현(守城縣)이었는데, 달리 말하기를 가라홀(加羅忽)이었다”는 기록을 바탕으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한 부분이 보인다. 이를 따르면 ‘가라’는 중세어 ‘거록ㅎ.다’의 어원인 ‘거르다’ 또는 ‘기르다’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하는데, 이 말은 오늘날 ‘길다’, ‘크다’의 뜻이다.

‘가라’를 ‘길다’와 연관지어 해석하고자 하는 논리를 모두 받아들이기는 어려우나, 적어도 ‘가라’가 낙동강 유역의 나라 이름만으로 쓰이지 않았음은 분명하다. 이를 고려한다면 ‘가야’에 들어 있는 ‘가르다’ 또는 ‘길다’와 같은 말들은 땅이름을 형성하는 기초 어휘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6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1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155
3172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516
3171 연미복 바람의종 2007.08.03 8038
3170 영감 바람의종 2007.08.07 7773
3169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604
3168 영남, 영동, 영서 바람의종 2007.08.09 11343
3167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7897
3166 오장육부 바람의종 2007.08.10 9702
3165 와중 바람의종 2007.08.10 6929
3164 요지경 바람의종 2007.08.11 10914
3163 용수철 바람의종 2007.08.11 7041
3162 은행 바람의종 2007.08.13 6839
3161 자문 바람의종 2007.08.13 7365
3160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733
3159 장본인 바람의종 2007.08.14 8582
3158 장안 바람의종 2007.08.15 9237
3157 재야 바람의종 2007.08.15 7730
3156 적자 바람의종 2007.08.16 13252
3155 전하 바람의종 2007.08.16 6992
3154 점고 바람의종 2007.08.17 7354
3153 점심 바람의종 2007.08.17 9302
3152 제6공화국 바람의종 2007.08.18 9756
3151 조장 바람의종 2007.08.18 71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