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8 05:59

짝벗 사이

조회 수 749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짝벗 사이

“남편과 아내 사이는 서로 짝벗이 되어서 공경말·삼가말을 쓰지 않는다. 소곤소곤 반쯤말로 하므로 서로 부름말이 없다.”(려증동·가정언어)

“여보·여봐요·○○씨(신혼), 여보·○○ 아버지/○○ 어머니, ○○ 아빠/○○ 엄마(자녀 둔 뒤), 여보·영감/임자·○○ 할아버지/○○ 할머니, ○○ 아버지/○○ 어머니(장노년)”(국어연구원 화법표준화자문위·1992)

예부터 짝벗(배필) 사이에 그럴듯한 부름말이 없기는 하지만, 불러야 할 때가 많고 실제 쓰는 말도 숱한데, ‘여보’도 그 중 하나다.

“거기요·보소·보이소·봅시다·아요·아여·어요·어이·여기요·여보·여봐요·이보오·저기요·저보 ….” 대체로 이름을 모르는 불특정인을 가까이서 부를 때도 쓰는 말들이다.

화법표준화자문위에서는 부름말로 ‘여보’를 대표로 골랐고, 지칭어로 ‘당신·○○씨’(신혼) ‘영감/임자’(장노년)를 표준으로 삼았다.

려증동님은 ‘여보·당신’은 싸움판에서 쓰는 말이어서 적절하지 않다며, 부르고 일컫는 말로 ‘어요·이녘’(아내에게), ‘아요·자기’(남편에게)를 내세운다.

“거기·당신·이녘·임자·자기/재개·자네·영감·마누라·지·니 …”

부름말이 마땅찮으면 이런 말에 ‘아·야·요’ 같은 호격조사를 붙여 불러도 된다. 짝벗은 무람한 사이여서 그렇다.

적절하고 많이 쓰는 말을 표준으로 삼아 그 쓰기를 권할 수는 있을 터이다. 그러나 본디부터 명토박아 쓰지 않는 까닭에 다양해진 말을 ‘이거야!’라고 한둘만 내세우는 것은, 말을 가난하게 하는 폐단이 따른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8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02
3172 지슬 風文 2020.04.29 1382
3171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384
3170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385
3169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390
3168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392
3167 오염된 소통 風文 2022.01.12 1394
3166 혼성어 風文 2022.05.18 1394
3165 만인의 ‘씨’(2) / 하퀴벌레, 하퀴벌레…바퀴벌레만도 못한 혐오를 곱씹으며 風文 2022.11.18 1394
3164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395
3163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396
3162 온나인? 올라인? 風文 2024.03.26 1399
3161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400
3160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401
3159 주권자의 외침 風文 2022.01.13 1402
3158 보편적 호칭, 번역 정본 風文 2022.05.26 1404
3157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405
3156 노랗다와 달다, 없다 風文 2022.07.29 1408
3155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409
3154 내 청춘에게? 風文 2024.02.17 1409
3153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風文 2022.01.13 1411
3152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414
3151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4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