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4 19:36

쐐기풀

조회 수 6501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쐐기풀

‘쐐기’는 풀, 벌레, 물건 이름으로 두루 쓰인다. ‘쐐기풀’은 주로 숲 가장자리에 많이 자라서 시골에서 자란 사람이면 흔히 따끔하게 스쳐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잎이 톱니 모양에다 포기 전체에 가시털이 나 있다. 가시에는 개미산(포름산)이 들어 있어 찔리면 쐐기한테 쏘인 것처럼 아프다. 그런데 독은 독을 이기는 법인지, 쐐기풀은 뱀독 해독제로도 쓰였다. ‘쐐기풀’은 모양과 감각이 두루 반영된 이름이다. ‘쐐기벌레’는 쐐기나방 애벌레로, 몸에 뾰족한 독침이 있어 따갑게 쏘기에 붙여진 이름일 터이다.

‘쐐기’는 물건을 고정시키거나 쪼갤 때 쓰는 쐐기(V)꼴 물건이다. 세계 글자 역사에서는 대체로 현존하는 최고의 문자로 기원전 4000년께 썼다는 메소포타미아의 쐐기문자를 든다. 진흙판에 글자를 새기기 때문에 쐐기같이 뾰족한 도구로, 진흙이 일어나지 않게 쐐기 모양으로 쓸 수밖에 없었는데, 당시 제일 훌륭한 신랑감은 의사도 판사도 아닌 ‘필경사’였다고 한다. 글자를 쓸 수 있는 사람이 지식과 권력의 최상층부인 시대도 있었는데, 최근 20년 사이 없어진 직업이 ‘필경사’와 ‘타자수’라는 얘기는 흥미롭다. ‘서예’는 말 그대로 미술 영역이 되었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228
3194 가시집 바람의종 2008.03.15 7478
3193 매발톱꽃 바람의종 2008.03.16 7824
3192 삿갓봉과 관악산 바람의종 2008.03.16 7955
3191 촌수 바람의종 2008.03.16 8389
3190 따발/따발총 바람의종 2008.03.16 7628
3189 별꽃 바람의종 2008.03.16 6185
3188 빌레와 바위 바람의종 2008.03.18 6959
3187 바람의종 2008.03.18 6638
3186 입뇌리·물퉁게 바람의종 2008.03.18 10255
3185 족두리꽃 바람의종 2008.03.19 7336
3184 진고개와 긴고개 바람의종 2008.03.20 7481
3183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7704
3182 단고기 바람의종 2008.03.20 7459
3181 엉겅퀴 바람의종 2008.03.22 5537
3180 오랫도리 바람의종 2008.03.22 8006
3179 임·님 바람의종 2008.03.24 10692
3178 수표 바람의종 2008.03.24 7405
» 쐐기풀 바람의종 2008.03.24 6501
3176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211
3175 아줌마·아지매 바람의종 2008.03.25 12056
3174 꽝포쟁이 바람의종 2008.03.25 7891
3173 범꼬리 바람의종 2008.03.27 65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