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4 19:29

수표

조회 수 7656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표

현금 대신 쓰는 수표(手票)의 기원은 13세기 유럽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32년께 일본 수표법이 준용된 ‘조선민사령’에 처음으로 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 이전부터 거래할 때 수표와 비슷한 ‘어음’이 널리 쓰였다. 조선 때 상평통보가 널리 쓰였는데, 무겁고 부피가 크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래서 개성 상인들은 종이에 금액, 날짜, 채무자 이름 등을 적고, 엽전 대신 사용했다. 이것이 지금의 어음으로 발전했다고 한다.

북녘에서도 ‘수표’를 사용할까? 북녘에서도 ‘수표’를 쓰는데 그 뜻이 다르다. 북녘말 ‘수표’(手票)는 ‘서명’ 또는 ‘사인’(sign)을 말한다.

“금컵 수상자에게서 기념으로 수표를 요구하다.”(우리말글쓰기 연관어대사전)

북녘에서는 수표를 서명·사인의 뜻으로만 쓰기에 보기로 든 글은 오해의 소지가 없다. 하지만 남녘말 ‘수표’로 해석하면 완전히 다른 뜻이 된다. 북녘말 ‘수표’는〈조선말사전〉(1961)에서도 확인되므로 그 이전부터 쓰이던 말로 보이는데, 남녘 사전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서명’은 북녘에서도 쓰이고, ‘사인’은 ‘싸인’으로 적는다.

한편, 예전에 쓰던 서명 방식으로 ‘수결’(手決)이 있다. ‘수결’은 ‘서명·사인·수표’와 달리 이름이 드러나는 방식이 아닌 기호처럼 쓰였다. 이는 조선 말 개항 이후 도장에 그 자리를 내줬다가 요즘의 서명(사인)으로 이어진다. 남북 두루 수표(돈)와 어음을 어음으로 통합하고, ‘사인·싸인, 수표’ 대신으로 ‘서명’으로 통일해 쓰는 건 어떨까?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00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60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15
268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726
267 영감 바람의종 2007.08.07 7882
266 연미복 바람의종 2007.08.03 8178
265 연륜 바람의종 2007.08.03 8658
264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432
263 양재기 바람의종 2007.08.02 11318
262 양반 바람의종 2007.08.01 7539
261 야합 바람의종 2007.08.01 7647
260 애로 바람의종 2007.07.31 6840
259 알력 바람의종 2007.07.31 7255
258 안양 바람의종 2007.07.30 7553
257 아성 바람의종 2007.07.30 8630
256 아녀자 바람의종 2007.07.29 9856
255 쌍벽 바람의종 2007.07.29 6403
254 슬하 바람의종 2007.07.28 7162
253 숙제 바람의종 2007.07.28 5164
252 숙맥 바람의종 2007.07.27 6718
251 수청 바람의종 2007.07.27 8606
250 고장말은 일상어다 / 이태영 바람의종 2007.07.24 22961
249 소정 바람의종 2007.07.24 6464
248 성곽 바람의종 2007.07.24 6485
247 섭씨 바람의종 2007.07.23 781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