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4 19:29

수표

조회 수 7487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표

현금 대신 쓰는 수표(手票)의 기원은 13세기 유럽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1932년께 일본 수표법이 준용된 ‘조선민사령’에 처음으로 등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 이전부터 거래할 때 수표와 비슷한 ‘어음’이 널리 쓰였다. 조선 때 상평통보가 널리 쓰였는데, 무겁고 부피가 크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래서 개성 상인들은 종이에 금액, 날짜, 채무자 이름 등을 적고, 엽전 대신 사용했다. 이것이 지금의 어음으로 발전했다고 한다.

북녘에서도 ‘수표’를 사용할까? 북녘에서도 ‘수표’를 쓰는데 그 뜻이 다르다. 북녘말 ‘수표’(手票)는 ‘서명’ 또는 ‘사인’(sign)을 말한다.

“금컵 수상자에게서 기념으로 수표를 요구하다.”(우리말글쓰기 연관어대사전)

북녘에서는 수표를 서명·사인의 뜻으로만 쓰기에 보기로 든 글은 오해의 소지가 없다. 하지만 남녘말 ‘수표’로 해석하면 완전히 다른 뜻이 된다. 북녘말 ‘수표’는〈조선말사전〉(1961)에서도 확인되므로 그 이전부터 쓰이던 말로 보이는데, 남녘 사전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서명’은 북녘에서도 쓰이고, ‘사인’은 ‘싸인’으로 적는다.

한편, 예전에 쓰던 서명 방식으로 ‘수결’(手決)이 있다. ‘수결’은 ‘서명·사인·수표’와 달리 이름이 드러나는 방식이 아닌 기호처럼 쓰였다. 이는 조선 말 개항 이후 도장에 그 자리를 내줬다가 요즘의 서명(사인)으로 이어진다. 남북 두루 수표(돈)와 어음을 어음으로 통합하고, ‘사인·싸인, 수표’ 대신으로 ‘서명’으로 통일해 쓰는 건 어떨까?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3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9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928
268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440
267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439
266 “자식들, 꽃들아, 미안하다, 보고 싶다, 사랑한다, 부디 잘 가라” 風文 2022.12.02 1436
265 사투리 쓰는 왕자 / 얽히고설키다 風文 2023.06.27 1435
264 1도 없다, 황교안의 거짓말? 風文 2022.07.17 1434
263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434
262 ‘건강한’ 페미니즘, 몸짓의 언어학 風文 2022.09.24 1430
261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428
260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425
259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425
258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風文 2022.09.29 1425
257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424
256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423
255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422
254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420
253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420
252 지슬 風文 2020.04.29 1416
251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14
250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414
249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413
248 ‘~스런’ 風文 2023.12.29 1412
247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