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4 19:28

임·님

조회 수 10956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임·님

임·님은 예부터 썩 높은 이나 귀한 이를 이를 때 쓴 말이다. 임금의 ‘임’이나 사랑하는 ‘임’이 그렇고, 뒷가지로 쓰는 ‘님’도 그렇다. 임금님이라면 맏높은 말에 다시 ‘님’을 붙여 지극히 높인다. 하느님·선생님·각시님·아드님·따님·서방님·손님·도련님·마님·샌님…들은 ‘님’이 아예 들러붙어 쓰이는 말들이다. 이 밖에도 ‘님’은 인격이 있는 지칭어에 붙어 높여 부르는 말을 만든다.

어버이를 높여 부르는 말은 무엇인가? 흔히 말하는 가친·부친·춘부장·선친·선대인, 모친·자당·자친·선대부인·선비 …처럼 살아 계시거나 돌아가신 어버이를 자신 또는 남이 가려가며 일컫는 높임말이 있는데, 이런 말들은 구별하기도 쉽잖고, 또 부르는 말이 아니라 모두 일컫는 말일 뿐이다.

옛시조나 글을 보면 아버님·어머님이 보이는데, 이 역시 글말이어서 실제로 어버이를 부를 때 썼는지는 알 수 없다. 대체로 자신의 아버지·어머니는 달리 높여 부르지는 않고, 남의 어버이를 높여 아버님·어머님이라 부른다. 예컨대 시집 온 며느리가 시가 부모를, 또 사위가 장인·장모를 부를 때는 ‘님’자를 붙여 불러야 자연스럽다. 할머님·할아버님·아주버님·아재뱀들도 주로 시집 온 며느리 쪽에서 쓰는 말이다.

“핏줄로 계산되는 친당·척당 사람에게는 ‘님’을 붙여서 부름말로 사용할 수 없다”(려증동)는 해석도 있고, 표준화법 쪽에서도 자기 어버이를 비롯한 친척을 부를 때 ‘님’을 붙여 부르지 않는 것을 자연스런 화법으로 여긴다. 다만 편지글 등 간접적으로 격식을 차리는 글말에서 ‘어버이’에 ‘님’을 붙여 쓰는 정도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74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34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071
268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743
267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743
266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742
265 통속어 활용법 風文 2022.01.28 1741
264 삼디가 어때서 風文 2022.02.01 1739
263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737
262 인기척, 허하다 風文 2022.08.17 1735
261 가족 호칭 혁신, 일본식 외래어 風文 2022.06.26 1734
260 웰다잉 -> 품위사 風文 2023.09.02 1734
259 맞춤법을 없애자, 맞춤법을 없애자 2 風文 2022.09.09 1732
258 '-시키다’ 風文 2023.12.22 1730
257 ‘나이’라는 숫자, 친정 언어 風文 2022.07.07 1727
256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726
255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725
254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724
253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722
252 '김'의 예언 風文 2023.04.13 1720
251 질문들, 정재환님께 답함 風文 2022.09.14 1715
250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711
249 영어 공용어화 風文 2022.05.12 1710
248 ○○노조 風文 2022.12.26 1705
247 공적인 말하기 風文 2021.12.01 17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