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20 02:39

단고기

조회 수 753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단고기

초복·중복·말복이 되면 삼계탕이나 개장국을 먹는다. 삼계탕은 대표적인 여름 보양식으로 자리잡았으나 개장국은 아직 공인되지 않은 음식이다. 북녘에서는 개고기를 ‘단고기’, 개장국을 ‘단고기국’이라 한다. 단고기라는 말은 ‘고기 맛이 달다’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평양시 낙랑구역 통일거리에는 ‘평양단고기집’이 있는데 1992년에 개장했다. 남녘에서 단고기는 공인된 식재료가 아니어서 규모가 큰 개장국 식당이 드문데, ‘평양단고기집’은 630석의 식사홀과 80석의 연회장, 7개의 방을 갖추고 있다니 무척 큰 규모다. ‘평양단고기집’에서는 다양한 단고기 요리를 코스요리로 맛볼 수 있다. 등뼈찜·갈비찜·가죽볶음·뒷다리토막찜·황구신이 차례로 나오고, 마지막으로 밥과 단고기국이 나온다. 밑반찬으로는 양배추말이김치와 우엉김치가 나온다.

남녘에서는 개장국을 보신탕·영양탕·사철탕이라고도 하는데, 재료 종류를 드러내지 않고 쓰는 말이다. 몸보신이 되고, 영양이 많고, 사철 먹어도 좋을 음식이 ‘단고기국’만은 아닐텐데도 이들 말은 ‘단고기국’을 가리킨다.

최근 중국에 평양단고기집 지점이 생겼다고 한다. 우리가 아직 마음대로 평양에 갈 수 없는 형편이지만 한편으로는 남녘 단고기 애호가들에게 희소식이겠다. 다른 한편으로는 공인되지 않은 개고기를 먹고자 밀도살, 밀수, 식당 편법 운영 등이 동원되는 남녘 현실과 단고기를 관광 상품으로 만들고 외국 지점까지 개설한 ‘평양단고기집’의 상황이 대조적으로 보인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75
268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044
267 가르치다, 가리키다 바람의종 2008.10.01 6789
266 가랭이 / 가랑이 바람의종 2010.08.05 16602
265 가라, 와라 바람의종 2011.11.20 9599
264 가듯, 갈 듯 바람의종 2009.08.01 10474
263 가드랬수 바람의종 2009.07.07 6363
262 가던 길 그냥 가든가 風文 2024.02.21 1702
261 가댔수? 바람의종 2009.06.29 6807
260 가닥덕대 바람의종 2008.02.03 7482
259 가능한,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08.11.15 7662
258 가능한 / 가능한 한 바람의종 2012.07.16 10392
257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869
256 가능성이 높다 바람의종 2010.03.04 11694
255 가능·가성능/최인호 바람의종 2007.04.28 8592
254 가늠하다, 가름하다, 갈음하다 바람의종 2011.12.30 20329
253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497
252 가난을 되물림, 대물림, 물림 바람의종 2010.03.30 13252
251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405
250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829
249 가겠소 / 가겠오 바람의종 2009.02.07 7677
248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51
247 가개·까까이 바람의종 2009.07.22 827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