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13 12:30

수진이 고개

조회 수 987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수진이 고개

성남시 수진동은 ‘궁말’, 또는 ‘궁촌’이라고도 했다.〈한국지명총람〉(한글학회)에는 세종의 일곱째 아들인 평원대군의 묘를 관리하는 수진궁이 있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 풀이한 바 있다. 그런데 수진동은 ‘수진’이라는 몽골어에서 온 말이다. 민요 ‘남원산성’의 “남원산성 올라가 이화 문전 바라보니, 수진이 날진이 해동청 보라매 떴다 봐라 저 종달새”라는 구절에서 알 수 있듯이, ‘수진’, ‘날진’(나진, 난친), ‘보라매’는 모두 매의 이름들이다. 사역원에서 간행한〈몽어유해〉에는 ‘해동청’(海東靑)을 ‘숑홀’이라고 기록한 바 있는데, 해동청은 오늘날의 ‘송골매’다.

이처럼 땅이름에 매의 이름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은 고려시대에 원나라와의 교류 과정에서 원의 매사냥 문화가 들어왔기 때문이다. 그 가운데 어떤 말들은 완전히 우리말처럼 쓰여 몽골어에서 온 것인지조차 알기 어려운 것들도 있다. 예를 들어 ‘시치미’는 매의 주인을 밝히고자 이름과 주소를 적어 매 꽁지에 붙인 네모진 뿔을 일컫는 말이었다. 달아난 매를 주인에게 돌려주지 않기로 작정하고 시치미를 떼는 행위에서 ‘시치미 떼다’라는 관용어가 나오기도 하였다.

이청준의 ‘매잡이’에서 사라져 가는 매잡이의 전통을 지키려는 곽돌 영감의 몸부림이 묘사되어 있듯이 오늘날은 매도 멸종 위기에 놓였다고 하니, 그나마 땅이름 속에서 매가 오래도록 살아남을 것으로 보인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5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10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060
3216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52
3215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352
3214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354
3213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354
3212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355
3211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356
3210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357
3209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359
3208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360
3207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361
3206 ○○노조 風文 2022.12.26 1361
3205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61
3204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362
3203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363
3202 좋은 목소리 / 좋은 발음 風文 2020.05.26 1365
3201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367
3200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369
3199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370
3198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371
3197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372
3196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373
3195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