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4 03:38

여우잠

조회 수 10154 추천 수 29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우잠

‘깊이 들지 않은 잠’을 ‘여우잠’이라 한다. 여우잠은 남녘 국어사전에 오르지 않았으나 일상생활에서 간혹 쓰이는 것으로 보인다. 남북 두루 쓰는 ‘노루잠·토끼잠·괭이잠·개잠’이 있다. 이들 말은 ‘깊이 들지 않아서 자꾸 놀라 깨는 잠’을 뜻하므로 ‘자꾸 놀라 깬다’는 뜻이 더 있다. 노루와 토끼는 힘센 육식 동물의 공격에 대비해야 하니 깊은 잠을 안 자는 습성이 있다. 괭이(고양이)는 기원전 1500년께 고대 이집트에서 길들였다는 기록이 있고, 개는 적어도 1만년 동안 인간과 함께 살아왔다고 한다. 이들은 사람보다 청각이 발달해 작은 움직임이나 소리에도 잠에서 깨기에 깊은 잠을 안 자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우잠은 왜 ‘깊이 들지 못한 잠’을 뜻하게 되었을까? ‘노루·토끼’나 ‘괭이·개’와 같은 방식으로는 이해되지 않는다. 남북이 같이 쓰는 ‘여우볕’은 ‘비나 눈이 오는 날 잠깐 나왔다가 숨어버리는 볕’이고, 남녁말 ‘여우비’는 ‘볕이 있는 날 잠깐 오다가 그치는 비’이다. 여우볕과 여우비는 ‘잠깐 지속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런 점에서 ‘여우잠’을 이해할 수 있겠다.

‘겉잠’과 관련 지어서도 해석할 수 있다. 겉잠은 ‘겉으로만 눈을 감고 자는 체하는 것’ 혹은 ‘깊이 들지 않은 잠’이다. 앞의 뜻은 여우잠과 관련 지을 수 있다. 여우는 영리하고 교활하기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곧, ‘잠자는 체하지만 사실 안 자는 것’을 이르는 말로 시작해서 뒤의 뜻으로 쓰인다고 볼 수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9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56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524
246 혁신의 의미, 말과 폭력 風文 2022.06.20 1400
245 남과 북의 협력 風文 2022.04.28 1399
244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398
243 “힘 빼”, 작은, 하찮은 風文 2022.10.26 1394
242 ‘이’와 ‘히’ 風文 2023.05.26 1390
241 이름 짓기, ‘쌔우다’ 風文 2022.10.24 1388
240 되묻기도 답변? 風文 2022.02.11 1387
239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386
238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384
237 한글의 역설, 말을 고치려면 風文 2022.08.19 1382
236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380
235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379
234 쌤, 일부러 틀린 말 風文 2022.07.01 1377
233 수능 국어영역 風文 2023.06.19 1377
232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374
231 ○○노조 風文 2022.12.26 1374
230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373
229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371
228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370
227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368
226 호언장담 風文 2022.05.09 1368
225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36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