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2627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튀기말, 피진과 크레올

어느 말겨레에 들지 못하고 두 언어가 뒤섞여 이루어진 말이 있다. 이를 튀기말이라 한다. 튀기말의 대표적인 형태가 피진이다. 피진은 주로 바다를 건너 장사하는 사람들 사이에 사용되던 말이다. 대개는 영어나 프랑스말, 스페인말, 포르투갈말에 바탕을 두고 현지 토박이말을 섞어 형성되는데, 낱말의 수도 한정되고 문법도 매우 단순화되어 있다. 물건을 사고파는 데 꼭 필요한 만큼의 낱말과 문법으로만 이루어진 게 튀기말이다.

피진 중에는 중국의 피진영어가 대표적이다. 피진이란 말 자체가 비즈니스(business)의 중국 발음을 딴 것이라고 알려졌다. 그 밖에도 아프리카나 태평양에 여러 토박이말과 서양말 사이에서 생겨난 피진들이 여럿 있다. 대개 낱말은 영어를 비롯한 서양말에서 왔고 문법은 토박이말에서 따왔다.

피진은 친밀하지 않은 상대방과 의사소통을 하느라 생긴 것으로 소통할 필요성이 있는 한 계속 유지된다. 집단 사이 관계가 매우 긴밀해져서 한 집단이 다른 집단의 언어를 완전히 배울 수 있게 되면 피진은 더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어느 쪽도 상대방 언어를 온전히 배울 마음이 없는 한 피진은 사라지지 않는다. 삼백년 동안이나 유지된 중국의 피진영어가 바로 여기에 해당된다.

그런데 피진이 한 족속의 모국어로 뿌리내리게 되어 어린아이가 태어나면서부터 이를 정식으로 습득하는 말이 될 때 이를 ‘크레올’이라 한다. 임시변통이던 튀기말이 정식 언어로 태어나는 셈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34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9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850
2930 묫자리 / 묏자리 바람의종 2012.08.20 12380
2929 괄세, 섭하다 바람의종 2010.02.21 12372
2928 끄적, 끼적, 깔짝, 깨작 바람의종 2010.05.30 12367
2927 맨들맨들, 반들반들, 번들번들, 미끌, 미끈 바람의종 2009.11.03 12360
2926 륙, 육 바람의종 2011.10.27 12351
2925 광안리 바람의종 2012.04.19 12343
2924 고개를 떨구다 바람의종 2008.11.20 12325
2923 ‘-든지’는 선택,‘-던지’는 회상 바람의종 2010.03.17 12321
2922 처리뱅이 바람의종 2011.11.24 12311
2921 삼십육계 줄행랑 바람의종 2008.01.16 12310
2920 드론 바람의종 2012.10.15 12296
2919 끊기다 바람의종 2011.05.01 12287
2918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81
2917 어깨를 걸고 나란히 바람의종 2009.12.01 12280
2916 의사와 열사 바람의종 2012.03.02 12278
2915 한눈팔다 바람의종 2007.04.02 12269
2914 한자의 두음, 활음조 바람의종 2010.04.26 12266
2913 개쓰레기 바람의종 2012.10.05 12260
2912 걸판지게 놀다 바람의종 2012.05.09 12254
2911 마린보이 바람의종 2012.08.13 12253
2910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249
2909 저지 바람의종 2010.04.18 122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