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3.04 03:34

한라산과 두무산

조회 수 975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한라산과 두무산 / 허재영

<세종실록지리지>나 <동국여지승람>에는 ‘한라산’의 다른 이름이 ‘두무산’이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정구의 <사천년문헌통고>에서도 “한라산은 가히 은하수를 더위잡을 수 있으므로 그 이름이 붙었으며, 봉우리가 모두 평평하고 둥근데 연못이 있어 마치 가마솥과 같은 까닭에 부산(釜山)이라 한다”고 했다. 가마를 뜻하는 ‘부’(釜)는 ‘두무’라기도 하는데, 이로 말미암아 한라산은 ‘부산’ 또는 ‘두무산’이라 부르기도 했다. 이처럼 ‘두무’가 든 땅이름은 매우 많다. ‘두무실’, ‘두뭇골’과 같은 마을 이름이 있고, ‘두무개’처럼 고개를 뜻하는 경우도 있다.

‘두무’의 말밑은 ‘둥근’이란 뜻의 ‘둠’이다. ‘돔’ 또는 ‘도마’로도 쓰이는데, ‘돔골’, ‘도마치’에 나타나는 ‘돔’과 ‘도마’가 이에 해당한다. 한라산의 모습이 평평하고 둥글기에 두무산이라고 했듯, 두무실이나 두뭇골은 모두 마을이 평평하고 둥그렇다. 이처럼 둥글고 평평한 뜻을 갖는 다른 이름으로 ‘두류’ 또는 ‘두륜’이 있다. 지리산의 다른 이름인 ‘두류산’이나 해남의 ‘두륜산’은 모두 둥근 모습의 산인 셈이다.

땅이름에 스며든 ‘두류’와 ‘두륜’은 ‘둥근’의 뜻을 갖는 ‘두렷다’에서 온 말이며, ‘두무’는 ‘두르다’의 이름꼴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두무’가 ‘도마’로 쓰이거나 ‘두메’로 쓰이게 되면 그 뜻이 어원과 멀어진 것처럼 생각된다. 그러나 ‘두메산골’도 산간 분지의 마을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두무’가 녹아든 말임을 알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4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09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847
3282 외래어의 된소리 風文 2022.01.28 1499
3281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500
3280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500
3279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503
3278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505
3277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506
3276 지슬 風文 2020.04.29 1509
3275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510
3274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512
3273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515
3272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515
3271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516
3270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18
3269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522
3268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522
3267 까치발 風文 2023.11.20 1522
3266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525
3265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528
3264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532
3263 김 여사 風文 2023.05.31 1532
3262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533
3261 내일러 風文 2024.01.03 15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