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5 21:06

재개비

조회 수 7195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재개비

‘재개비’는 재의 티끌이다. “반반히 불타버린 동네쪽에서는 아직도 재개비가 흩날리고 매캐한 파벽토냄새가 풍겨왔다.” (피바다)
“비방울이 후둑후둑 떨어졌다. 벌겋게 널린 숯불바닥에 구름처럼 김이 피여오르고 재개비가 흩날렸다.”(시대의 탄생 1)

‘재’라고 해도 될 것을 왜 ‘재개비’라 했을까? ‘재가 흩날린다’면 ‘많은 재가 날리거나 재가 조금 날리는 것’을 두루 나타내는데, ‘재개비가 흩날린다’면, ‘많은 재가 날리는 것’은 아니다.

재개비의 ‘개비’는 일상적으로 많이 쓰인다. ‘성냥개비, 장작개비’ 등이 그렇다. 심지어 ‘팔랑개비, 바람개비’도 같은 것이라 생각된다. ‘개비’가 본디‘가늘고 길쭉한 토막의 낱개’를 뜻하는데, 풍차처럼 바람에 돌아갈 수 있도록 ‘개비’를 붙여서 만들었기에 그렇게 이름 짓지 않았을까.

'깨비’도 마찬가지다. 북녘말 ‘동이깨비’와 남북이 같이 쓰는 ‘지저깨비’가 있다. ‘개비’가 ‘깨비’로 쓰이는 것은 발음에 이끌려 굳어진 탓이다. ‘재개비, 성냥개비, 장작개비’도 두루 ‘깨비’로 소리난다. ‘동이깨비’는 말 그대로 질그릇인 ‘동이’가 깨진 조각을 말한다. 지저깨비는 ‘지저분하다’와 ‘개비’의 결합으로 보이는데 ‘지저분한 조각’이다. 남북 모두 나무를 패거나 깎을 때 나오는 나뭇조각을 이르고, 북녘에서는 나무 이외의 대상에도 쓰인다.

“곡괭이는 비척거리며 튕겨오를뿐 콩크리트에서는 작은 지저깨비도 일지 않았다.”(평양시간)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8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46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432
3238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554
3237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1845
3236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056
3235 ‘암(수)캐’가 ‘암(수)개’로 바람의종 2010.01.22 9454
3234 ‘앗다’ 쓰임 바람의종 2008.06.19 6924
3233 ‘앗다’와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0.04.18 14241
3232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105
3231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564
3230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676
3229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725
3228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587
3227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511
3226 ‘으’의 탈락 바람의종 2010.06.19 11096
3225 ‘이’와 ‘히’ 風文 2023.05.26 1459
3224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433
3223 ‘이다’‘아니다’와만 결합하는 ‘-에요’ 바람의종 2010.01.09 6923
3222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161
3221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바람의종 2010.03.26 13131
3220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312
3219 ‘쫓다’와 ‘쫒다’ 風文 2023.07.01 2134
3218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8991
3217 ‘첫날밤이요’ 바람의종 2010.02.21 972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