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2 20:37

큰 바위

조회 수 8154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큰 바위

미국의 소설가 너새니얼 호손의 <큰 바위 얼굴>은 산골짜기 어느 마을에 큰 바위 얼굴을 닮은 위인을 기다리며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이다. 소년과 마을 사람들이 기다리던 큰 바위 얼굴을 한 위인은 장군도 아니었고 시인도 아니었다. 오히려 그는 바위를 닮아 살아온 주인공 자신이었던 셈이다.

사람은 자신이 놓인 자연을 닮아가면서 살아간다. 경기도 두물머리(양수리) 사람들의 삶을 그린 시인 권대응은 “양수리 사람들은 강을 닮으며 살아간다”고 하였다. 땅이름도 자연의 한 부분으로 존재한다. <금강산 기행>을 쓴 이광수는 구름과 안개가 걷힌 금강산 비로봉에 지극히 평범한 덕을 지닌 ‘배바위’를 보고는 소설가다운 상상을 자연스럽게 펼쳐낸다. 배바위는 뱃사람들이 바위를 기준으로 삼아 배가 나아갈 방향을 정하는 바위라는 뜻이다. 만장봉두에 말없이 앉아 있다가 푸른 바닷길을 열어주니 얼마나 큰 덕을 쌓는 일인가. 성인도 미치지 못할까 두려워한 덕이지만 사람이라면 누구나 소망하는 평범한 덕이다.

우리나라 각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는 큰 바위 이름은 모양이나 기능에서 비롯된 것들이 많다. 우뚝 선 모습의 ‘선바위’, 병풍처럼 펼쳐 있는 ‘병풍바위’, 칼날처럼 날카로운 ‘칼바위’ 등이 그러하다. 특히 강원 산간 마을에는 이런 이름이 더 많다. 이런 이름들에는 큰 바위 얼굴처럼 자연을 닮아가는 순박한 사람들의 소박한 삶이 배어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26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85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5586
3238 3인칭은 없다, 문자와 일본정신 風文 2022.07.21 1614
3237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615
3236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615
3235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615
3234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620
3233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620
3232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620
3231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621
3230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625
3229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626
3228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629
3227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630
3226 순직 風文 2022.02.01 1631
3225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633
3224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633
3223 외부인과 내부인 風文 2021.10.31 1635
3222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637
3221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637
3220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638
3219 국민께 감사를 風文 2021.11.10 1639
3218 말다듬기 위원회 / 불통 風文 2020.05.22 1640
3217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6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