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1 15:47

애기똥풀

조회 수 613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애기똥풀

풀꽃이름에 ‘똥/오줌’이 붙는 것은 좀 심하다 싶지만, ‘애기똥풀’은 줄기를 꺾으면 노란색 젖 같은 액즙이 나오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또한 오뉴월에 꽃이 피는데, 노란 꽃잎 넉 장이 붙어 있는 작은 꽃모양도 예쁘게 싸 놓은 애기똥을 연상시킨다. ‘젖풀/ 씨아똥/ 까치다리’라고도 부른다.

한자말로는 ‘백굴채’(白屈菜)라고 하여 배가 아플 때 진통제로 쓰거나 짓무른 살갗에 발랐는데, 시골에서 자란 사람은 젖풀을 바르면 사마귀가 줄어든다는 말도 들어봤을 것이다. 요즘 들어 음식이나 새집증후군 따위 갖가지 환경문제로 말미암아 ‘아토피’란 병증이 극성을 부리는데, 이 풀이 치료재로 환영을 받고 있다고 한다. 애기들의 아토피를 치료하는 데 이 풀이 긴요하게 쓰이는 것을 보면 이름을 붙인 옛 어른들이 선견지명이 있는 것도 같다.

시골 동네 어디서나 볼 수 있는 꽃이지만 우리가 관심도 없던 풀꽃이어서 동화에도 자주 등장하는 풀이름이다. 시 소재로도 흔히 쓰인다. “‘나 서른다섯 될 때까지/ 애기똥풀 모르고 살았지요/ 해마다 어김없이 봄날 돌아올 때마다/ 그들은 내 얼굴 쳐다보았을 텐데요.”(안도현 ‘애기똥풀’) 하찮은 것 같아도 당당하다고 노래한다. “시궁창 물가에 서서도/ 앙증스레 꽃 피워 문/ 애기똥풀 보아라/ 어디 연꽃만이 연꽃이겠느냐.”(복효근 ‘애기똥풀꽃’) 그렇다. 장미나 백합만 꽃이 아니고, 애기똥풀이나 할미꽃의 아름다움마저 깨닫게 되는 것이 철들고 나이 드는 것의 소중함 아닐까.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애기똥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48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9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976
3238 대원군 바람의종 2007.06.24 8952
3237 대책 바람의종 2007.06.25 6420
3236 대처승 바람의종 2007.06.25 9704
3235 도락 바람의종 2007.06.26 7445
3234 도구 바람의종 2007.06.26 5803
3233 도량 바람의종 2007.06.27 6913
3232 도탄 바람의종 2007.06.27 5530
3231 동기간 바람의종 2007.06.28 7711
3230 동냥 바람의종 2007.06.28 9742
3229 등용문 바람의종 2007.06.30 6901
3228 막론 바람의종 2007.06.30 6330
3227 말세 바람의종 2007.07.01 8676
3226 면목 바람의종 2007.07.01 8104
3225 명일 바람의종 2007.07.02 11232
3224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543
3223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785
3222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47
3221 무녀리 바람의종 2007.07.04 9112
3220 무진장 바람의종 2007.07.04 7380
3219 문외한 바람의종 2007.07.05 8745
3218 미망인 바람의종 2007.07.05 6141
3217 미인계 바람의종 2007.07.06 71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