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1 15:41

슬기와 설미

조회 수 8645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슬기와 설미

우리 토박이말에는 이치를 밝히고 올바름을 가리는 일에 쓸 낱말이 모자라 그 자리를 숱하게 중국 한자말로 메운다. 이런 형편은 우리말이 본디 그렇게 돼 있어서 그런 게 아니다. 머리를 써서 이치를 밝히고 올바름을 가리는 일을 맡았던 사람들이 우리말을 팽개치고 한자말만 쓴 까닭이다. 마음이 있으면 말은 생기는 법인데 그들은 우리말에 마음을 주지 않았다. ‘슬기’와 ‘설미’는 그런 역사를 뚫고 이치를 밝히며 올바름을 가리면서 끈질기게 살아남은 토박이말이다.

‘슬기’는 임진왜란 뒤로 가끔 글말에 적힌 덕분에 무서운 한자말 발길에 짓밟히면서도 살아남아 우리 품까지 안겨왔다. 아직도 ‘슬기’보다는 ‘지혜’를 즐겨 쓰는 이가 많지만 국어사전들이 “사물의 이치를 빨리 깨달으며 사물을 처리하는 방도를 옳게 잘 생각해내는 재간이나 능력”이라고 뜻풀이를 똑똑히 달아 올림말로 실어놓아서 갈수록 널리 쓰일 것이다.

‘설미’는 15세기 끝 무렵에 엮은 〈악학궤범〉에 한 차례 글말로 적힌 바가 있지만 여태 국어사전에는 오르지 못한 말이다. 다만 ‘눈’의 매김을 받으면서 ‘눈썰미’로만 국어사전에 올라 있을 뿐이다. 하지만 ‘설미’는 “이런저런 사정을 두루 살펴서 올바르고 그릇된 바를 제대로 가늠하는 마음의 힘”이라는 뜻을 지닌 빼어난 우리 토박이말이다. 악학궤범에는 나쁜 것을 쫓는 서낭 ‘처용’의 모습을 추켜세우면서 “설 모도와 有德신 가매”라 했다. “처용이 ‘설미’를 모아 가지고 있어서 가슴이 유덕하다”는 뜻이다.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24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76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769
3238 ‘시끄러워!’, 직연 風文 2022.10.25 1500
3237 ‘시월’ ‘오뉴월’ 風文 2024.01.20 1689
3236 ‘안 되’는 ‘안 돼’ 바람의종 2009.11.24 9019
3235 ‘암(수)캐’가 ‘암(수)개’로 바람의종 2010.01.22 9442
3234 ‘앗다’ 쓰임 바람의종 2008.06.19 6884
3233 ‘앗다’와 ‘호함지다’ 바람의종 2010.04.18 14166
3232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063
3231 ‘오빠 부대’ 바람의종 2008.01.07 7520
3230 ‘외국어’라는 외부, ‘영어’라는 내부 風文 2022.11.28 1584
3229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1594
3228 ‘우거지붙이’ 말 바람의종 2007.10.13 10499
3227 ‘웃기고 있네’와 ‘웃기고 자빠졌네’, ‘-도’와 나머지 風文 2022.12.06 1430
3226 ‘으’의 탈락 바람의종 2010.06.19 11057
3225 ‘이’와 ‘히’ 風文 2023.05.26 1375
3224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340
3223 ‘이다’‘아니다’와만 결합하는 ‘-에요’ 바람의종 2010.01.09 6899
3222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141
3221 ‘직하다’와 ‘-ㅁ/음직하다’ 바람의종 2010.03.26 13111
3220 ‘짝퉁’ 시인 되기, ‘짝퉁’ 철학자 되기 風文 2022.07.16 1195
3219 ‘쫓다’와 ‘쫒다’ 風文 2023.07.01 2065
3218 ‘첫 참석’ 바람의종 2009.11.09 8960
3217 ‘첫날밤이요’ 바람의종 2010.02.21 96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