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20 15:34

엄리대수와 아시

조회 수 8258 추천 수 2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엄리대수와 아시

‘호태왕비문’에서, “(추모왕이 하늘의) 시킴을 따라 수레를 몰고 남쪽으로 순행하여 내려오는데, 부여 땅 엄리대수를 지나가게 되었다”라는 기록은 흥미로운 풀이를 하게 한다. 왜냐하면 이 지역은 정확하지는 않으나 안시성의 위치와도 무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엄리대수’와 ‘안시’는 어떤 관계에 있을까?

이에 대한 흥미로운 해석은 황윤석의 <이재집>에 나타난다. ‘화음방언자의해’에서 황윤석은 신라 옛말에 ‘아시새’, 곧 ‘어시새’가 있다고 하였다. 그가 어떤 자료를 바탕으로 이러한 해석을 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고려가요 <사모곡>에도 나타나듯이 우리말에서 ‘어시’는 ‘어머니’, 또는 ‘부모’란 뜻을 지닌다. 또한 경남 함안의 옛이름이 ‘아시량’이다.

안시성을 봉황성이라 부른 기록은 여러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황윤석은 ‘봉황’은 ‘부헝’(부엉이)을 한자음으로 적은 것이라고 풀이하고 있다. 이 풀이는 정확하다고 할 수는 없으나, ‘어머니’나 ‘부모’ 또는 ‘크고 평안함’을 뜻하는 토박이말 ‘아시’를 ‘안시’라는 한자음으로 적었다는 설명은 매우 설득적이다. 또한 <삼국사기> 동명성왕 조에서는 이 강의 이름을 ‘엄사수’ 또는 ‘개사수’라고 표현하였다. ‘엄사’는 ‘엄리’보다 ‘어시’에 더 가깝다.

이처럼 ‘엄리대수’와 ‘아시’가 동일계 어휘라고 한다면, 삼국의 언어가 매우 동질적이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비록 고구려와 신라의 정치 세력은 달랐다고 할지라도 우리 조상들의 말은 같은 뿌리를 갖고 있음을 땅이름이 보여주는 셈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8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42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400
224 정치인의 애칭 風文 2022.02.08 1361
223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359
222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359
221 직거래하는 냄새, 은유 가라앉히기 風文 2022.08.06 1358
220 '바치다'와 '받치다' file 風文 2023.01.04 1358
219 어떤 문답 관리자 2022.01.31 1356
218 돼지의 울음소리, 말 같지 않은 소리 風文 2022.07.20 1356
217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355
216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352
215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351
214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351
213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350
212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350
211 새말과 소통, 국어공부 성찰 風文 2022.02.13 1350
210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348
209 어떻게 토론할까, 질문 안 할 책임 風文 2022.07.24 1344
208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340
207 말의 적 / 화무십일홍 風文 2023.10.09 1340
206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340
205 자백과 고백 風文 2022.01.12 1337
204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336
203 말끝이 당신이다, 고급 말싸움법 風文 2022.07.19 13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