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6 14:00

퉁구스 말겨레

조회 수 10557 추천 수 2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퉁구스 말겨레

시베리아의 겨울, 지난 겨울은 무려 영하 40도까지 내려갔다. 그 추운 시베리아에는 넓디넓은 땅만큼이나 여러 겨레가 살고 있으며, 아울러 러시아말과 중국말 사이사이에 여러 언어들이 쓰이고 있다. 그 가운데는 퉁구스 말겨레가 이곳저곳 흩어져 쓰인다. 퉁구스라 하면 우리에게는 만주-퉁구스라는 용어로 잘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말로 어웡키말을 들 수 있다. 러시아 지역 어웡키말은 서쪽으로는 시베리아 예니세이강에서부터 동쪽으로는 오호츠크 해안 지역과 캄차카반도, 그리고 사할린섬에 이르기까지 분포한다. 그러나 넓은 분포 지역에 견줘 이 말을 쓰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하여 사라질 위기에 놓인 언어로 분류된다. 현재 어웡키말로 소통을 할 수 있는 사람은 러시아에 만 명쯤, 중국에 천 명쯤 있을 뿐이다. 이 말이 급속도로 러시아말과 중국말로 대체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어웡키말 문법은 우리말 문법과 꽤 비슷하다. 그러나 우리말에는 ‘이/가’처럼 주격조사가 있지만, 어웡키말에는 주격조사가 따로 없다. 그리고 추운 지역이다 보니 눈을 가리키는 낱말이 30가지나 되며, 사슴과 관련된 낱말은 무려 500가지 이상이 되어 자연과 생활이 말 속에 깊이 스며 있음을 볼 수 있다.

시베리아 동북쪽 넓은 지역에 흩어져 있는 어원말도 있고, 그 밖에 나나이·오로촌·우디허 등이 있지만, 모두 사라질 위기에 놓인 안타까운 언어들이다. 그리고 넓게는 만주말·시버말도 이에 든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8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3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389
3260 노루귀 바람의종 2008.02.04 6550
3259 게르만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05 8459
3258 돌서덕 바람의종 2008.02.05 9493
3257 이랑과 고랑 바람의종 2008.02.05 7274
3256 부처손 바람의종 2008.02.10 8646
3255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7857
3254 우랄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0 8787
3253 노박비 바람의종 2008.02.11 8306
3252 돕다와 거들다 바람의종 2008.02.11 6491
3251 패랭이꽃 바람의종 2008.02.11 8887
3250 백두산 바람의종 2008.02.12 8096
3249 바스크말 바람의종 2008.02.12 6758
3248 물어름 바람의종 2008.02.12 8301
3247 춥다와 덥다 바람의종 2008.02.13 10065
3246 광대수염 바람의종 2008.02.13 8498
3245 두만강과 여진어 바람의종 2008.02.14 8508
3244 극동 언어들 바람의종 2008.02.14 7954
3243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764
3242 서낭 바람의종 2008.02.15 7099
3241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761
3240 남산 신성비 바람의종 2008.02.16 9059
» 퉁구스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16 105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