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5 16:18

씀바귀

조회 수 783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씀바귀

봄나물이 한창이다. 씀바귀는 ‘달래, 냉이, 씀바귀, 나물 캐 오자 ~’라는 노랫말에서도 보듯 봄에 나는 대표적인 나물이다. 농가월령가 2월령에도 “들나물 캐어 먹세. 고들빼기 씀바귀며, 소루쟁이 물쑥이라. 달래김치 냉잇국은 입맛을 돋우나니 …” 하는 구절이 나온다.

씀바귀는 잎새와 뿌리에서 나오는 하얀 즙이 쓰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다른 이름으로 ‘씸배나물/ 씬나물’, 한자말로 ‘고채’(苦菜)도 마찬가지 뜻이다. 들과 산에 흔한 씀바귀는 ‘흰씀바귀/ 꽃씀바귀/ 산씀바귀/ 모래씀바귀/ 벋음씀바귀 …’들처럼 종류도 많다. 씀바귀는 입맛을 돋우고, 춘곤증을 이겨낼 수 있으며, 봄에 씀바귀를 먹으면 여름을 타지 않는다고 한다.

예부터 내려오는 ‘나물노래’도 재미있다. “한푼두푼 돈나물, 쑥쑥뽑아 나싱개(냉이), 잡아뜯어 꽃따지, 영꾸부정 활나물, 매끈매끈 기름나물, 칭칭감아 감돌래, 이산저산 번개나물, 머리끝에 댕기나물, 뱅뱅도는 돌개나물, 말라죽기냐 고사리 ….” 아흔아홉 가지 나물노래를 부를 줄 알면 삼년 가뭄도 이겨낸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로 나물은 우리 조상들의 소중한 먹거리였는데, 지금은 배부른 ‘웰빙’의 방편으로나 나물을 대한다.

요즘 지구가 더워진다는 온난화 걱정을 많이 한다. 소만(小滿: 음력 4월)에야 씀바귀가 뻗어 나오고,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보리가 익는 절기라고 하였는데, 그런 걱정의 징표인지 요즘은 그보다 훨씬 일찍 씀바귀가 나오고 있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씀바귀 : 학명 - Ixeris dentata 분류 - 국화과
분포지역 - 한국·일본·중국
자생지 - 산과 들
크기 높이 - 25∼50c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7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25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275
3260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277
3259 우방과 동맹, 손주 風文 2022.07.05 1278
3258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278
3257 ‘다음 소희’에 숨은 문법 風文 2023.02.27 1278
3256 아니오 / 아니요 風文 2023.10.08 1279
3255 김 여사 風文 2023.05.31 1280
3254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281
3253 생각보다, 효녀 노릇 風文 2022.09.02 1284
3252 몸으로 재다, 윙크와 무시 風文 2022.11.09 1285
3251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286
3250 남친과 남사친 風文 2023.02.13 1286
3249 매뉴얼 / 동통 風文 2020.05.30 1287
3248 교정, 교열 / 전공의 風文 2020.05.27 1288
3247 세계어 배우기 風文 2022.05.11 1288
3246 날씨와 인사 風文 2022.05.23 1289
3245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290
3244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291
3243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292
3242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296
3241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299
3240 깻잎 / 기림비 1 風文 2020.06.01 1302
3239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3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