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2.14 14:17

두만강과 여진어

조회 수 859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만강과 여진어

언어 접촉은 땅이름에도 그 흔적을 남긴다. 일본의 ‘고마현’이 백제의 ‘웅진’과 관련이 있듯이, ‘두만강’도 여진어의 잔재임은 널리 알려져 있다.〈용비어천가〉에는 ‘두만강’을 풀이하면서, “여진의 속어로 만(萬)을 두만(豆漫)이라 부른다”는 설명을 덧붙이고 있다.

여진어 모습을 담고 있는 땅이름은 꽤 여러 가지다. 이기문 교수는 〈세종실록지리지〉를 고찰하면서, 함북 종성의 유래를 살핀 바 있다. 지리지 기록에 “호인(여진)들은 종을 일컬어 동건(童巾)이라 했는데, 부내에 동건산이 있어 그로부터 종성이라는 이름이 생겼다”고 했다. 또한 “동건산은 종성부 북쪽에 있는데, 종을 엎어놓은 형상으로 그 위에는 돌로 쌓은 성이 있고, 성안에는 연못이 있다”고 풀이했다.

‘동건’은 때로 ‘동관’(潼關)으로 적을 때도 있는데, 여진어로는 ‘퉁건’이다. 그런데 ‘퉁건’은 본디 ‘북’을 뜻하는 말이었다. 이에 해당하는 우리말은 ‘쇠붑’이다. 곧 ‘북’을 뜻하는 ‘동건’이 ‘종’으로 옮겨지면서 ‘종성’이라는 땅이름을 남겼는데, 이는 ‘북’과 ‘종’을 뒤섞어 쓰는 풍습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밖에 여진어의 땅이름으로 경성의 다른 이름인 ‘우롱이’ 또는 ‘목랑고’, 마천령의 옛날 이름인 ‘이판대령’ 등도 있다. 야인이 ‘소’를 ‘이판’이라 불렀다는 기록이나 여진어에서 ‘거울’을 뜻하는 ‘무러구’란 말이 있었던 것을 보면, 비록 겨레는 흩어지고 문화는 흐려졌을지라도 언어의 흔적은 끊임없이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35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8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834
3260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680
3259 ‘돌미’와 ‘살미’ 바람의종 2008.02.01 8143
3258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바람의종 2010.05.07 13347
3257 ‘뛰다’와 ‘달리다’ 바람의종 2007.11.05 5650
3256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593
3255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9.12.04 9935
3254 ‘막하다’ 바람의종 2008.01.06 8202
3253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871
3252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256
3251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風文 2024.03.27 1794
3250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302
3249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바람의종 2009.12.01 10811
3248 ‘모라’와 마을 바람의종 2008.02.10 8007
3247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939
3246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바람의종 2010.04.23 11851
3245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430
3244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222
3243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847
3242 ‘빼또칼’과 ‘총대가정’ 바람의종 2010.06.08 12576
3241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風文 2022.08.21 1543
324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231
3239 ‘수놈’과 ‘숫놈’ 風文 2024.05.08 6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