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7 15:35

삼촌

조회 수 8240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삼촌

중앙아시아에 강제로 끌려가 살고 있는 동포들이 쓰는 말을 ‘고려말’이라 한다. 19세기 함경도말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고모·이모를 고려말에서는 ‘아제’(=아재)라 한다. 흔히 아제라 함은 아저씨, 곧 남자숙항을 가리키는 사투리인데, 고려말에서 아주머니, 곧 여자숙항을 가리키는 게 특징이다. 현재 강릉말에서도 아제는 고모·이모·숙모를 가리킨다.

영어에서 남자숙항은 친삼촌이든 외삼촌이든 모두 uncle이라 하고, 여자숙항은 고모든 이모든 aunt라 한다. 터키말은 각각 다르게 부른다. 친삼촌은 emme, 외삼촌은 dayi, 고모는 amme, 이모는 hala라 한다.

아버지·어머니를 가리키는 말과 숙항을 가리키는 말이 같은 언어도 있다. 하와이말에서는 아버지·친삼촌·외삼촌이 모두 makuakane이고, 어머니·고모·이모는 모두 makuahine이다. 야노마모말에서는 아버지와 친삼촌은 haya로 같으나 외삼촌은 soaya로 다르다. 또한 어머니와 이모는 naya로 같으나, 고모는 yesiya로 다르다.

파푸아섬의 다니말 역시 아버지와 친삼촌은 opaije로 같고, 어머니와 이모는 akoja로 같다. 그런데 이 말에서는 나의 외사촌 자매를 가리키는 말이 어머니·이모와 같아 akoja라 부른다.

아프리카의 아칸말도 아버지와 친삼촌을 가리키는 말은 같아 agya이고, 어머니와 이모를 가리키는 말은 같아 ena다. 그뿐만 아니라 나의 고종사촌 형제를 가리키는 말이 아버지·친삼촌과 같아 agya라 부른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9098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055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9Jan
    by 바람의종
    2008/01/29 by 바람의종
    Views 7489 

    날래다와 빠르다

  5. No Image 29Jan
    by 바람의종
    2008/01/29 by 바람의종
    Views 8608 

    비갈망

  6. No Image 29Jan
    by 바람의종
    2008/01/29 by 바람의종
    Views 22007 

    색깔이름

  7. No Image 28Jan
    by 바람의종
    2008/01/28 by 바람의종
    Views 8807 

    마니산과 머리

  8. No Image 28Jan
    by 바람의종
    2008/01/28 by 바람의종
    Views 7073 

    말꽃과 삶꽃

  9. No Image 28Jan
    by 바람의종
    2008/01/28 by 바람의종
    Views 7251 

    깍지다리

  10. No Image 27Jan
    by 바람의종
    2008/01/27 by 바람의종
    Views 8240 

    삼촌

  11. No Image 27Jan
    by 바람의종
    2008/01/27 by 바람의종
    Views 9387 

    달개비

  12. No Image 27Jan
    by 바람의종
    2008/01/27 by 바람의종
    Views 9063 

    개차산과 죽산

  13. No Image 26Jan
    by 바람의종
    2008/01/26 by 바람의종
    Views 8403 

    뽑다와 캐다

  14. No Image 26Jan
    by 바람의종
    2008/01/26 by 바람의종
    Views 11784 

    자욱길

  15. No Image 26Jan
    by 바람의종
    2008/01/26 by 바람의종
    Views 11647 

    형제자매

  16. No Image 25Jan
    by 바람의종
    2008/01/25 by 바람의종
    Views 7768 

    듬실과 버드실

  17. No Image 25Jan
    by 바람의종
    2008/01/25 by 바람의종
    Views 7475 

    개양귀비

  18. No Image 25Jan
    by 바람의종
    2008/01/25 by 바람의종
    Views 8339 

    차례와 뜨레

  19. No Image 24Jan
    by 바람의종
    2008/01/24 by 바람의종
    Views 9374 

    이마귀

  20. No Image 24Jan
    by 바람의종
    2008/01/24 by 바람의종
    Views 10468 

    사촌

  21. No Image 24Jan
    by 바람의종
    2008/01/24 by 바람의종
    Views 11422 

    황새울과 큰새

  22.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08/01/22 by 바람의종
    Views 6870 

    너도밤나무

  23.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08/01/22 by 바람의종
    Views 6540 

    소젖

  24. No Image 22Jan
    by 바람의종
    2008/01/22 by 바람의종
    Views 9016 

    인사말

  25. No Image 21Jan
    by 바람의종
    2008/01/21 by 바람의종
    Views 7849 

    태백산과 아사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