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24 18:09

황새울과 큰새

조회 수 11373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황새울과 큰새

작은 마을 이름에는 땅의 모양새나 동식물과 관련된 것들이 많다. 당진군 정미면의 ‘황새울’이라는 곳도 ‘황새’가 많이 날아든다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다. 그런데 이 마을 사람들은 ‘황새울’을 ‘한새울’이라고도 한다. ‘황새’와 ‘한새’는 어떤 관계일까?

우리말 형용사 ‘하다’는 ‘크다·많다’라는 뜻을 지닌 옛말이었다. 이는 <용비어천가> 제2장의 ‘불휘 기픈 남? 바?매 아니 뮐? 곶 됴코 여름 하?니’라는 표현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여기서 ‘여름 하?니’는 ‘열매가 많으니’라는 뜻이다. ‘한강’은 ‘큰 강’을 뜻하며, ‘한밭’은 또한 ‘큰 밭’(大田)’을 뜻한다는 것은 두루 아는 사실이다. 우리 글을 ‘한글’이라 한 것도 ‘큰 글’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이쯤 되면 ‘한새울’이 ‘황새울’로 불리는 까닭도 짐작할 수 있다. ‘한 새’는 ‘큰 새’이며, 한낱말로 녹아드는 과정에서 ‘황새’라는 말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최세진의 <훈몽자회>에서는 황새를 ‘한새 관(?)’으로 풀이한 바 있다. 또한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황새’를, “몸의 길이는 1미터, 편 날개의 길이는 66센티미터, 몸빛은 흰 빛”으로 풀이한다. 결국 ‘황’은 ‘한’이 변한 소리다. ‘한’은 ‘황’뿐만 아니라 ‘항’으로 소리날 수도 있다. 우리 옛말에 ‘주인’을 뜻하는 ‘항것’도 ‘큰’이라는 뜻의 ‘항’과 ‘주인’이라는 뜻의 ‘것’이 합쳐진 말이다. 이처럼 음이 유사한 작은 마을 이름에서 우리말의 본새를 찾는 일은 즐거운 일이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0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73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583
3414 훈방, 석방 바람의종 2010.07.23 14905
3413 훈민정음 반포 565돌 바람의종 2011.11.20 14679
3412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671
3411 후덥지근 / 후텁지근 바람의종 2012.05.30 11606
3410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613
3409 효능, 효과 바람의종 2010.04.25 10678
3408 횡설수설 1 바람의종 2010.11.11 15327
3407 획정, 확정 바람의종 2008.12.10 15035
3406 회피 / 기피 바람의종 2012.07.05 11919
3405 회가 동하다 바람의종 2008.02.01 20433
3404 홰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40016
3403 황제 바람의종 2012.11.02 18714
3402 황소바람 바람의종 2010.09.04 11976
» 황새울과 큰새 바람의종 2008.01.24 11373
3400 황금시간 / 우리말 속 일본어 風文 2020.06.11 2113
3399 활개를 치다 바람의종 2008.02.01 12757
3398 환멸은 나의 힘 / 영어는 멋있다? 風文 2022.10.28 1782
3397 환갑 바람의종 2007.10.06 18480
3396 화이바 바람의종 2009.09.24 10637
3395 화성돈 바람의종 2012.08.30 10912
3394 홑몸, 홀몸 바람의종 2009.02.14 12215
3393 홍일점 바람의종 2010.10.06 1509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