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8 06:32

압록강과 마자수

조회 수 6892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압록강과 마자수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는 압록강을 건너 연경(북경)을 거쳐 황제의 행궁이 있었던 열하까지 여행한 기행문이다. 이 책에서 압록강은 ‘마자수’라고 부르기도 하였는데, 그 근원이 말갈의 백산(백두산)으로부터 출발하며, 물빛이 오리의 머리빛깔과 같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압록강은 분명 물빛에서 나온 이름이다. 그런데 압록강을 왜 ‘마자수’(馬紫水)라 불렀던 것일까?

흥미로운 사실은 ‘마자’가 용(龍)을 뜻하는 토박이말 ‘미르’와 관련이 있다는 황윤석의 해석이다. 황윤석은 영조 때의 실학자로〈이제속고〉라는 문집으로 유명하다. 이 책의 잡저에는 ‘화음방언자의해’라는 글이 실려 있다. 말 그대로 중국의 한자음이 우리말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설명하는 글이다. 여기서 곧 ‘마자’와 ‘미르’는 같은 소리였다고 한다. 그렇기에 압록강을 ‘마자수’ 또는 ‘용만’(龍灣)이라 불렀고, 또 압록강 가까이 있는 ‘의주’를 ‘용만’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땅이름 가운데 미르 ‘용’자가 들어간 곳도 비교적 많다. 유래를 확인할 수는 없지만, 연변에는 ‘용정’(龍井)이 있고, 서울에서 ‘용산’이 있다. 서울의 용산은 백제 기루왕 때 한강에서 두 마리 용이 나타났던 까닭으로 붙은 이름이라고 한다. 이처럼 땅이름은 어원보다는 설화 속에서 전승되는 경우가 많지만, ‘마자수’에 ‘미르’가 남아 있듯이 풍요로운 우리말의 창고 구실을 한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4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9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36
3326 말의 세대 차 風文 2023.02.01 1188
3325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188
3324 마그나 카르타 風文 2022.05.10 1191
3323 외국어 차용 風文 2022.05.06 1192
3322 영어의 힘 風文 2022.05.12 1195
332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벤처대부는 나의 소망 風文 2022.05.26 1195
3320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風文 2022.09.11 1197
3319 내일러 風文 2024.01.03 1197
3318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198
3317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198
3316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201
3315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202
3314 국어와 국립국어원 / 왜 風文 2022.08.29 1202
3313 상석 風文 2023.12.05 1202
3312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204
3311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208
3310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208
3309 옹알이 風文 2021.09.03 1209
3308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211
3307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218
3306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219
3305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2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