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7 09:27

나무노래

조회 수 7689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나무노래

초등학생 조카가 읊조리는 ‘나무노래’는 조그만 입술로 옹알대는 모습도 귀엽지만, 무엇보다도 언어유희 수준이 뛰어나 언제 들어도 재미있다. 우선 비슷한 소리를 붙인다. “가자가자 감나무, 오자오자 옻나무, 오다보니 오동나무, 늙었구나 느릅나무, 자빠졌다 잣나무 ….”

낱말풀이도 있다. “십리절반 오리나무, 열의갑절 스무나무, 내편네편 양편나무, 젖먹여라 수유나무, 셈잘한다 계수나무 ….”
말 쓰임이 나오기도 한다. “불밝혀라 등나무, 불에붙여 향나무, 마당쓸어 싸리나무 ….”
모습과 소리가 살아있다. “덜덜떠는 사시나무, 입맞췄다 쪽나무, 오줌싼다 쉬나무 ….”
반대말도 등장한다. “낮에봐도 밤나무, 거짓없어 참나무, 양반동네 상나무, 풀었어도 매자나무 ….”

아이러니는 어떤가. “한치라도 백자나무, 남쪽에 난 동백나무, 푸르러도 단풍나무, 죽어도 살구나무 ….” 아예 한 문장으로 만들기도 한다. “‘오자마자 가래’나무, ‘깔고앉아 구기자’나무, ‘칼로베어 피’나무, ‘씨름하여 저’나무, ‘하느님께 비자’나무, ‘그렇다고 치자’나무 ….”

요즘 생태학교에서 “뽕나무가 뽕하고 방구를 뀌니, 대나무가 대끼놈 야단을 치네, 참나무가 참다못해 하는 말, 참아라~”처럼 배운다 하니, 삶과 자연이 하나로 녹아든 모습이다. 나무노래는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4·4조 음수율에 운을 맞추고 뜻을 이루는 품새가 절묘하지 않은가.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89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41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384
3326 ~라고 / ~고 바람의종 2012.01.24 13757
3325 ~라고 믿다 바람의종 2010.04.27 10889
3324 ~려, ~러 바람의종 2009.09.21 9787
3323 ~로부터 바람의종 2008.11.21 6666
3322 ~마라 / ~말라 바람의종 2009.02.02 9629
3321 ~부터 시작 바람의종 2008.10.26 6572
3320 ~상(上) 줄여쓰기 바람의종 2009.09.21 8578
3319 ~섰거라 바람의종 2010.04.27 10602
3318 ~없다 바람의종 2010.07.26 11312
3317 ~에 대한 바람의종 2008.03.11 7255
3316 ~에 대해, ~에 관해 바람의종 2009.03.26 10766
3315 ~에 의해 바람의종 2009.03.14 6904
3314 ~에 있어서 바람의종 2009.02.10 6854
3313 ~에, ~에게, ~한테, ~더러 바람의종 2008.10.01 8005
3312 ~에게, ~와 바람의종 2010.05.28 8136
3311 ~으로 / ~을 알고 있다 바람의종 2010.01.09 9802
3310 ~의, ~와의 바람의종 2009.02.18 7412
3309 ~이라야, ~이래야 바람의종 2010.04.13 8189
3308 ~중이다 바람의종 2010.03.17 11190
3307 ~하는 듯 하다 / ~하는 듯하다 / ~하는듯하다 바람의종 2010.10.14 16717
3306 ~하므로 ~함으로 바람의종 2008.07.17 8880
3305 ‘-다랗다’ 바람의종 2010.07.19 96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