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4 07:00

과거시제

조회 수 8159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과거시제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현재·과거·미래를 구분한다. 우리는 어떤 일을 하더라도 늘 현재를 살면서 지난날을 되살피며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생각한다. 문법에도 이런 시간 흐름이 반영된다. 말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지나간 시점의 일을 표현하는 것을 과거시제, 다가올 시점의 일을 표현하는 것을 미래시제, 말하는 시점과 일의 시점이 같은 때는 현재시제라 한다. 언어마다 현재·미래보다 과거를 표시하는 문법적인 방법이 뚜렷하다. 우리말에서 ‘나는 책을 읽었다’와 같이 어미 ‘-었-’을 써서 과거를 표시하고, 영어에서 어미 ‘-ed’를 통해 과거를 나타낸다.

그러나 우리말이나 영어의 경우, 과거시제를 표현하는 것이 한 단계밖에 없다. 곧, 모든 과거는 ‘-었-’이나 ‘-ed’로 표현한다. 그러나 과거시제를 몇 단계로 나눠 표현하는 말이 있어 흥미롭다. 인도 북동부 미슈미말에는 현재로부터 가까운 과거는 ‘so’로, 한참 지난 과거는 ‘liya’로 표현한다. ‘ha tape tha-so’라 하면 조금 전에 내가 밥을 먹었다는 뜻이고, ‘ha tape tha-liya’라 하면 한참 전에 내가 밥을 먹었다는 뜻이다. 벰바말에서는 더 다양하다. 그저께보다 더 과거라면 ‘-ali-’, 어제쯤은 ‘-alee-’, 오늘 아침쯤이면 ‘-aci-’, 서너 시간 전쯤이면 ‘-a-’를 써서 지난적을 나타낸다.

이렇게 다양하게 과거를 구분하는 것은 어떤 의미를 가질까? 말을 통해 생각하는 방식과 문화의 다양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58243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9736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0Jan
    by 바람의종
    2008/01/20 by 바람의종
    Views 6475 

    달맞이꽃

  5. No Image 20Jan
    by 바람의종
    2008/01/20 by 바람의종
    Views 8470 

    부리다와 시키다

  6. No Image 20Jan
    by 바람의종
    2008/01/20 by 바람의종
    Views 488857 

    말차례

  7.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08/01/19 by 바람의종
    Views 6837 

    안시성과 아골관

  8.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08/01/19 by 바람의종
    Views 6078 

    며느리밥풀

  9. No Image 19Jan
    by 바람의종
    2008/01/19 by 바람의종
    Views 4232 

    말과 글

  10. No Image 18Jan
    by 바람의종
    2008/01/18 by 바람의종
    Views 10401 

    윽박

  11. No Image 18Jan
    by 바람의종
    2008/01/18 by 바람의종
    Views 7007 

    성별 문법

  12. No Image 18Jan
    by 바람의종
    2008/01/18 by 바람의종
    Views 6973 

    압록강과 마자수

  13. No Image 17Jan
    by 바람의종
    2008/01/17 by 바람의종
    Views 7808 

    나무노래

  14. No Image 17Jan
    by 바람의종
    2008/01/17 by 바람의종
    Views 7736 

    굴레와 멍에

  15. No Image 16Jan
    by 바람의종
    2008/01/16 by 바람의종
    Views 5860 

    물혹

  16. No Image 16Jan
    by 바람의종
    2008/01/16 by 바람의종
    Views 7725 

    미래시제

  17. No Image 16Jan
    by 바람의종
    2008/01/16 by 바람의종
    Views 6770 

    여우골과 어린이말

  18. No Image 15Jan
    by 바람의종
    2008/01/15 by 바람의종
    Views 7316 

    쇠뜨기

  19. No Image 15Jan
    by 바람의종
    2008/01/15 by 바람의종
    Views 7455 

    그치다와 마치다

  20. No Image 15Jan
    by 바람의종
    2008/01/15 by 바람의종
    Views 8862 

    쓸어올리다

  21. No Image 14Jan
    by 바람의종
    2008/01/14 by 바람의종
    Views 8159 

    과거시제

  22. No Image 14Jan
    by 바람의종
    2008/01/14 by 바람의종
    Views 8794 

    예천과 물맛

  23. No Image 14Jan
    by 바람의종
    2008/01/14 by 바람의종
    Views 7978 

    열쇠

  24. No Image 13Jan
    by 바람의종
    2008/01/13 by 바람의종
    Views 6943 

    가와 끝

  25. No Image 13Jan
    by 바람의종
    2008/01/13 by 바람의종
    Views 7563 

    맞부닥치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