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1.12 02:48

서울

조회 수 6508 추천 수 3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서울


서울은 예부터 수도를 상징하는 토박이말이다. 게다가 서울이라는 땅이름이 담고 있는 의미는 매우 다의적이다. ‘그 나라의 서울은 어디입니까?’라고 묻는다면, 그때의 서울은 ‘수도’를 뜻하는 말이며, ‘서울 600년사’라는 말에서는 한국의 수도인 ‘서울’을 뜻한다.

그런데 ‘서울’이라는 말은 어디서 나온 것일까? 이 말은 본디 ‘서라벌’(徐羅伐), ‘서벌’(徐伐)과 같이 정치나 행정의 중심지역을 뜻하는 말이었다. 특히 서라벌과 서벌은 ‘동쪽’을 뜻하는 ‘새’( )에 ‘마을’이나 ‘성’을 뜻하는 ‘벌’이 합쳐진 말로, 신라의 서울이었던 경주의 옛이름이었다. 그러기에 양주동은 〈고가연구〉에서 ‘향가’의 옛이름 가운데 하나인 ‘사뇌가’를 ‘동방의 노래’라 풀었던 것이다.

옛말 가운데 ‘서울’과 관련된 지명은 백제에도 있다. 백제의 서울인 ‘부여’의 옛이름이 ‘소부리’(所夫里)다. ‘서라벌’이나 ‘소부리’는 같은 뜻을 지닌 말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마을을 뜻하는 말로 신라에서는 ‘화’(火: 불)를 붙이는 경우가 많았고, 고구려에서는 ‘홀’(忽)을 붙이는 사례가 많았는데, 백제는 ‘부리’(夫里)를 붙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라의 수도인 ‘서라벌’, 백제의 수도인 ‘소부리’는 모두 ‘서울’에 해당하는 옛말이었음이 증명된다.

중국에서는 서울을 소리가 비슷한 ‘서우얼’(首爾)로 적기로 했다고 한다. 얼마나 정착될지 궁금하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국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5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55
136 새로운 한자어, 이름과 실천 風文 2022.06.18 1282
135 울면서 말하기 風文 2023.03.01 1282
134 내일러 風文 2024.01.03 1282
133 말의 이중성, 하나 마나 한 말 風文 2022.07.25 1279
132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277
131 더(the) 한국말 風文 2021.12.01 1276
130 다만, 다만, 다만, 뒷담화 風文 2022.09.07 1276
129 깨알 글씨, 할 말과 못할 말 風文 2022.06.22 1275
128 발음의 변화, 망언과 대응 風文 2022.02.24 1270
127 영어 열등감, 몸에 닿는 단위 風文 2022.04.27 1267
126 북혐 프레임, 인사시키기 風文 2022.05.30 1266
125 그림과 말, 어이, 택배! 風文 2022.09.16 1266
124 말과 절제, 방향과 방위 風文 2022.07.06 1265
123 왠지/웬일, 어떻게/어떡해 風文 2023.06.30 1265
122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265
121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262
120 성인의 외국어 학습, 촌철살인 風文 2022.06.19 1261
119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259
118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256
117 동무 생각, 마실 외교 風文 2022.06.14 1252
116 역사와 욕망 風文 2022.02.11 1250
115 뒤죽박죽, 말썽꾼, 턱스크 風文 2022.08.23 12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