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6 00:34

책보따리·책보퉁이

조회 수 872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책보따리·책보퉁이

지금은 초등학생이나 대학생 가릴 것 없이 ‘책가방’을 메고 다니지만, 1970년대 이전만 해도 국민학생들은 ‘책보’를 들거나 메고 다녔다. 중학생이 되어 제복을 입게 되면서 비로소 ‘책가방’을 들고 다녔다. 넉넉한 집 아이들은 멜빵가방(란도셀, ransel)을 메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책보’였다. 책보는 ‘책보자기’, ‘책보따리’, ‘책보퉁이’로도 불렸는데, 국어사전에는 ‘책보’와 ‘책보자기’만 동의어로 올랐고,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수록되지 않았다.

“야, 빨리 책보따리 싸 가지구 나와.”(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며칠 전에 만석이가 책보따리를 챙겨 들고 나가면서 일러 주던 말이다.”(김춘복 〈쌈짓골〉) “나는 … 방으로 들어가서 책보퉁이를 내던지고, 서랍에서 도장을 꺼내 넣고 다시 나왔다.”(염상섭 〈만세전〉)
“아무도 책보퉁이를 들고 있지 않아서 몸과 마음이 모두 가벼웠다.”(이상문 〈황색인〉)

‘책보’와 ‘책보자기’는 ‘책을 싸는 보자기’를, ‘책보따리’와 ‘책보퉁이’는 ‘책을 보자기에 싸서 꾸린 뭉치’를 말하는 것이어서 뜻이 다르다. 따라서 ‘책보(책보자기)를 싸다’, ‘책보(보자기)를 풀다’ 등으로 쓰고,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메다’, ‘책보따리(책보퉁이)를 들다’ 등으로 구분해서 써야 하는데, 이 낱말들이 쓰인 용례를 보면 대부분 ‘책보따리’(책보퉁이)의 뜻으로 구분없이 쓰고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7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4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228
3040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319
3039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1024
3038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66
3037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878
3036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7095
3035 사십구재 바람의종 2007.11.09 7015
3034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7109
3033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356
3032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740
3031 사주단자 바람의종 2007.11.10 11784
303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803
3029 삼척동자 바람의종 2007.12.12 6850
3028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9107
3027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604
3026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87
3025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74
302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420
3023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292
3022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96
3021 아비규환 바람의종 2007.12.14 7395
3020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906
3019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4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