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1.05 00:27

지역 언어

조회 수 6977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지역 언어

‘지역’(地域)은 ‘일정하게 나눈 범위의 땅’, ‘전체 사회를 특징 따라 나눈 일정한 공간 영역’이라는 뜻을 지닌다. 그러므로 지역 언어라 하면 ‘어떤 특징 따라 나눈 공간 영역에서 쓰는 언어’를 일컫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오래 전부터 행정을 중심으로 지역을 나누고 있어 남쪽의 경우는 서울·경기, 충청, 전라, 경상, 강원, 제주 지역으로 굳혀 써 왔다.

사전의 뜻과 다르게 ‘지역’이라는 말을 ‘중앙’과 대립하는 개념으로 잘못 다루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서울’도 하나의 지역에 지나지 않는데도 “지역 발전이 소외되고 있다”는 표현에서는 중앙과 대립하는 ‘지방’을 두고 하는 말로 쓰인다. 고장말(방언)을 ‘지역어’라 부를 때도 본디 개념에서 벗어난 채, ‘지방의 말’로 잘못 생각하는 사람이 적잖다. ‘지방’이란 개념에 ‘서울 이외의 지역’이라는 뜻이 있어 ‘지역’과 ‘지방’이란 말을 뒤섞어 쓰면서 생긴 결과라 할 수 있다.

방언학에서는 “방언이란 본디 균질적이던 한 언어가 지리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분화되어 생겨난 분화체로서, 특정 지역 또는 사회 계층에서만 사용하는 음성·음운·문법·어휘의 체계를 가리킨다”고 그 개념을 정의하고 있다.

지역의 언어라고 할 때, 그 개념에는 한국어로서 가지는 보편적인 음운·통사·화용 현상, 문체, 어휘, 억양, 리듬, 음의 높낮이와 장단, 속담, 관용 표현은 물론, 고장의 고유한 언어 특성들을 포괄한다.

이태영/전북대 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20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64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595
2952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841
2951 지지부진 바람의종 2010.08.17 11075
2950 지지배, 기지배, 기집애, 계집애, 임마, 인마 바람의종 2011.12.22 21127
2949 지역감정과 별명 바람의종 2010.03.08 9280
» 지역 언어 바람의종 2007.11.05 6977
2947 지양과 지향 바람의종 2010.08.07 12125
2946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10008
2945 지식생산, 동의함 風文 2022.07.10 1418
2944 지슬 風文 2020.04.29 1393
2943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540
2942 지명의 의의 風文 2021.11.15 1505
2941 지리한 -> 지루한 바람의종 2012.06.13 10489
2940 지리하다,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8.12.26 10863
2939 지리하다 바람의종 2009.07.31 9429
2938 지름길 바람의종 2007.03.27 6589
2937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572
2936 지도자의 화법 風文 2022.01.15 1540
2935 지도 편달 바람의종 2007.12.22 35907
2934 지다 바람의종 2010.08.15 11609
2933 지나친 완곡 바람의종 2008.09.09 4703
2932 지긋이/지그시 風文 2023.09.02 1419
2931 지긋이, 지그시 바람의종 2008.11.13 104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