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7079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강한 바람’만인가?

라디오나 텔레비전의 기상예보는 바람이 불었다 하면 “강한 바람”이 불겠다고 한다. 그것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바람이 어떻게 불면 ‘강하게’ 부는 것인가? 토박이말이라면 바람이 ‘잔잔하게’ ‘산들산들’ ‘선들선들’ ‘간들간들’, ‘건들건들’, ‘세게’, ‘세차게’, ‘거세게’ ‘거칠게’ ‘매섭게’, ‘모질게’ 불겠다고 예보할 수 있다.

바람은 불어오는 쪽에 따라 ‘샛바람·가새바람·된새바람·강쇠바람’이 있고, ‘마파람·갈마파람·된마파람’도 있고, ‘가수알바람·하늬바람·높하늬바람’도 있고, ‘높새바람·뒤바람·막새바람’도 있고, ‘앞바람·옆바람·윗바람·아랫바람·산바람·골바람·들바람·벌바람·왜바람’도 있다.

불어오는 모습에 따라 ‘산들바람·선들바람·간들바람·건들바람·비바람·고추바람·꽃바람·꽃샘바람·눈바람·늦바람·된바람·매운바람·실바람·서릿바람·소소리바람·손돌바람·황소바람’이 있고, ‘용수바람·회오리바람·돌개바람’까지 있다.

‘강한 바람’이라는 소리는 한자말 ‘강풍’이 있으니 그렇다고 하자. 그러나 “강한 비가 내리겠다”, “강한 구름이 몰려온다” 하다가 지난 겨울에는 “강한 눈이 오겠다”까지 했다. 우리말 씀씀이가 어쩌다 이처럼 무뎌지고 말았을까? 말이 무뎌진 것은 느낌과 생각과 뜻이 무뎌진 것이다. 아해 다르고 어해 다른 우리 토박이말을 살려서 우리의 느낌과 생각과 뜻을 살려야 한다.

김수업/우리말대학원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24
3414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1514
3413 ‘도와센터’ ‘몰던카’ 風文 2024.01.16 1501
3412 ‘거칠은 들판’ ‘낯설은 타향’ 風文 2024.01.09 1536
3411 헷갈리는 맞춤법 風文 2024.01.09 1621
3410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257
3409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272
3408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207
3407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241
3406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284
3405 내일러 風文 2024.01.03 1155
3404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110
3403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155
3402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228
3401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104
3400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210
3399 ‘~스런’ 風文 2023.12.29 1254
3398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173
3397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290
3396 '-시키다’ 風文 2023.12.22 1159
3395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1025
3394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119
3393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10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