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8 01:18

우리

조회 수 8881 추천 수 1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리

대화 상황에는 반드시 사람이 등장한다. 이들을 문법에서는 인칭이라 한다. 말하는 이가 1인칭, 듣는 이가 2인칭, 이야기에 언급되는 이가 3인칭이다. 인칭이 대명사로 실현되면 인칭대명사다. 우리말의 1인칭 대명사는 ‘나’(단수)와 ‘우리’(복수)가 있다. 상대를 대접해서 말할 때는 ‘저’와 ‘저희’라는 낱말을 쓴다.

1인칭 복수 ‘우리’라는 말은 따져 보면 두 가지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인다. “우리는 전철 타고 갈 테니, 너희들은 버스로 가거라”라는 문장의 ‘우리’에는 말을 듣는 상대방인 ‘너희’는 제외돼 있다. 그러나 “그러지 말고 우리 함께 전철로 갑시다”의 ‘우리’에는 말을 듣는 상대방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우리’라는 대명사는 말하는 사람 쪽만 가리키기도 하고, 말하는 사람과 듣는 상대편까지 모두 포함하여 가리키기도 한다.

그런데 언어에 따라서는 이런 두 가지 의미를 구분하여 각기 다른 형태로 나타내기도 한다. 알타이언어 가운데 그런 언어가 흔히 있다. 만주말을 보면 1인칭 복수대명사가 [be]와 [muse] 둘이 있다. [be]는 말하는 사람 쪽만 가리키고, [muse]는 말을 듣는 상대편까지 포함하여 가리킨다. “meni gurun”은 상대편 나라에 대하여 “우리 나라”라는 뜻이고, “musei gurun”은 “우리 두 나라 함께”라는 뜻이다. 몽골 옛말에도 ‘ba’와 ‘bida’의 구분이 있었다. 이러한 알타이언어의 특징이 우리말에는 없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81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3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217
3436 ‘-land’ 가 붙는 지명 표기 바람의종 2010.06.01 11866
3435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5840
3434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5882
3433 단어를 쪼개지 말자 바람의종 2012.05.02 10999
3432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553
3431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018
3430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7781
3429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294
3428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072
3427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9779
3426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9929
3425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368
3424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416
3423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092
3422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104
3421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475
3420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664
3419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276
3418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076
3417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274
3416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531
3415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88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