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3 06:02

‘우거지붙이’ 말

조회 수 10547 추천 수 1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거지붙이’ 말

‘푸성귀를 다듬을 때에 골라 놓은 겉대’를 ‘우거지’라고 한다. 먹을 게 넘치는 요즘은 무나 배추의 우거지를 버리기도 하지만, 먹을거리가 모자라던 시절에는 더없이 좋은 식료품이었다.

“긴 긴 겨울, 굶기를 밥 먹듯 하며 우거지국으로 가까스로 연명을 해 온 그들이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어느 곳이나 식량 사정은 딱해. 우리 절에서도 쌀 몇 알을 넣은 우거지죽을 끓여 먹는 형편이니까.”(이병주, 〈지리산〉)
“우거지찌개하고 신김치만 있으면 밥이 마냥 꿀맛 같은 대식가였고 ….”(박완서, 〈지 알고 내 알고 하늘이 알건만〉)

이 ‘우거지’가 ‘국·찌개’를 끓이거나 ‘죽’을 쑤는 재료로 쓰이면서 ‘우거짓국’, ‘우거지찌개’, ‘우거지탕’, ‘우거지죽’이란 이름이 생겼는데, 국어사전에는 ‘우거지김치’ 정도만 올랐고 다른 음식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음식 재료는 대개 ‘국·탕·찌개·볶음’ 등의 재료가 되므로 관련된 말을 죄다 챙겨서 올리기는 어렵다. 그러나 ‘스파게티’나 ‘비프스테이크’ 같은 여러 외래 음식도 국어사전에 올리는 판에 ‘우거짓국, 우거지탕, 우거지죽, 우거지찌개, 우거지부침’ 같은 우리 일상 생활과 관련이 깊고, 많이 쓰이는 낱말들을 사전에 챙겨 올리지 않는 것은 문제다. 비슷한 말인 ‘시래기’의 경우, ‘시래깃국, 시래기나물, 시래기떡, 시래기죽, 시래기지짐이, 시래기찌개’들이 사전에 수록돼 있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1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989
3106 개헌을 한다면 風文 2021.10.31 1197
3105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194
3104 말의 미혹 風文 2021.10.30 1288
3103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315
3102 언어와 인권 風文 2021.10.28 1181
3101 세로드립 風文 2021.10.15 1389
3100 ‘선진화’의 길 風文 2021.10.15 1303
3099 언어의 혁신 風文 2021.10.14 1177
3098 재판받는 한글 風文 2021.10.14 932
3097 말의 권모술수 風文 2021.10.13 747
3096 고령화와 언어 風文 2021.10.13 919
3095 어버이들 風文 2021.10.10 899
3094 상투적인 반성 風文 2021.10.10 860
3093 정치인들의 말 風文 2021.10.08 820
3092 공공 재산, 전화 風文 2021.10.08 809
3091 편견의 어휘 風文 2021.09.15 1133
3090 비판과 막말 風文 2021.09.15 1076
3089 군인의 말투 風文 2021.09.14 824
3088 무제한 발언권 風文 2021.09.14 793
3087 언어적 주도력 風文 2021.09.13 808
3086 악담의 악순환 風文 2021.09.13 870
3085 법률과 애국 風文 2021.09.10 79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