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11 18:59

‘부럽다’의 방언형

조회 수 9013 추천 수 1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부럽다’의 방언형

박경리의 소설 〈토지〉에는 “동네 사람들이 얼매나 불버라 하는지 아요?”에서처럼 형용사 ‘붋다'가 보인다. ‘불버라, 불버도’와 같이 쓰이는 이 말은 표준어 ‘부럽다’의 경남 방언이다. 〈한국방언자료집〉을 참고하여 정리해 보면, 경기도를 중심으로 ‘부럽다’가 쓰이고, 충청 방언과 전라 방언을 중심으로는 ‘불거도, 불거워도’처럼 ‘붉다’가 쓰이며, 경상 방언에서는 ‘불버도’와 같이 ‘붋다'가, 동사로는 ‘불버하다’가 쓰인다.

역사적으로 옛 문헌에서는 형용사 ‘븗다'와 ‘부럽다’가 두루 보인다. 이는 동사로 ‘블다’(羨)가 쓰이고 있는 것과 대조된다. 형용사 ‘부럽다’는 동사 ‘블-’에 형용사를 만드는 파생접미사 ‘-업’이 연결되어 형용사가 된 것이다.

전라도 지역에서 쓰이는 형용사 ‘불겁다’는 ‘불거워도, 불거뵌다’와 같이 쓰이는데, 이는 ‘붉다’에 다시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업’이 연결되어 짜인 것이다. 경상도와 인접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불법다’는 ‘불버워도’와 같이 쓰이는데, 형용사 ‘붋다'에 다시 뒷가지 ‘-업’이 연결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결론적으로, 동사 ‘블-’에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 ‘-업’이 붙은 ‘부럽다’가 표준어로 쓰이고, 동시에 전라 방언에서는 ‘붉-’이 주된 기본형으로, 경상 방언에서는 ‘붋-’이 기본형으로 쓰인 것으로 이해된다.

우리말이 나누어지면서 지역에 따라 독특하게 쓰이는 고장말의 다양성과 상관성을 보여준다.

이태영/전북대교수·국어학





***** 윤영환님에 의해서 게시물 카테고리변경되었습니다 (2008-10-14 00:05)

  1. ∥…………………………………………………………………… 목록

    Date2006.09.16 By바람의종 Views45857
    read more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Date2007.02.18 By바람의종 Views192404
    read more
  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Date2006.09.09 By風磬 Views207476
    read more
  4. ‘도와센터’ ‘몰던카’

    Date2024.01.16 By風文 Views1293
    Read More
  5. ‘돌미’와 ‘살미’

    Date2008.02.01 By바람의종 Views7995
    Read More
  6. ‘때식을 번지다’와 ‘재구를 치다’

    Date2010.05.07 By바람의종 Views13248
    Read More
  7. ‘뛰다’와 ‘달리다’

    Date2007.11.05 By바람의종 Views5512
    Read More
  8. ‘렷다’

    Date2010.04.27 By바람의종 Views9510
    Read More
  9. ‘로서’와 ‘로써’

    Date2009.12.04 By바람의종 Views9886
    Read More
  10. ‘막하다’

    Date2008.01.06 By바람의종 Views8036
    Read More
  11. ‘말밭’을 가꾸자

    Date2011.11.11 By바람의종 Views8801
    Read More
  12. ‘맞다’와 ‘맞는다’, 이름 바꾸기

    Date2022.09.11 By風文 Views943
    Read More
  13. ‘머스트 해브’와 ‘워너비’

    Date2024.03.27 By風文 Views1361
    Read More
  14. ‘며칠’과 ‘몇 일’

    Date2023.12.28 By風文 Views1018
    Read More
  15. ‘몇 일’이 아니고 ‘며칠’인 이유

    Date2009.12.01 By바람의종 Views10713
    Read More
  16. ‘모라’와 마을

    Date2008.02.10 By바람의종 Views7816
    Read More
  17. ‘물멀기’와 ‘싸다’

    Date2010.05.17 By바람의종 Views12866
    Read More
  18. ‘바드민톤’과 ‘아수한 이별’

    Date2010.04.23 By바람의종 Views11781
    Read More
  19. ‘부끄부끄’ ‘쓰담쓰담’

    Date2023.06.02 By風文 Views1223
    Read More
  20. ‘부럽다’의 방언형

    Date2007.10.11 By바람의종 Views9013
    Read More
  21. ‘붇다’와 ‘붓다’의 활용

    Date2010.01.14 By바람의종 Views11793
    Read More
  22. ‘빼또칼’과 ‘총대가정’

    Date2010.06.08 By바람의종 Views12510
    Read More
  23. ‘사흘’ 사태, 그래서 어쩌라고

    Date2022.08.21 By風文 Views1350
    Read More
  24. ‘선진화’의 길

    Date2021.10.15 By風文 Views1055
    Read More
  25. ‘수놈’과 ‘숫놈’

    Date2024.05.08 By風文 Views37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