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7.10.09 01:13

단소리/쓴소리

조회 수 11626 추천 수 1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단소리/쓴소리

아무래도 ‘고언’(苦言)을 하기보다는 ‘감언’(甘言)을 하기가 쉽고, ‘고언’을 듣기보다는 ‘감언’ 듣는 것이 좋다. 뜻으로는 ‘감언’이 좋을 듯하나 쓰임을 보면 ‘감언에 넘어가다’, ‘감언에 이끌리다’, ‘감언으로 꾀다’처럼 부정적으로 쓰이는 반면, ‘고언’은 그 반대다.

“앞으로 동학이 어디로 나갈 것인가. … 그게 중요하기 때문에 소승 감히 고언(苦言)을 드리는 바이오.”(박경리, 〈토지〉)

이를 달리는 ‘단소리’ ‘쓴소리’로 쓴다. 여기서 ‘단소리’는 감언을 다듬은 말 같은데 〈표준국어대사전〉에 ‘단소리’는 오르지 않았고, ‘쓴소리’는 올랐으나 ‘고언의 북한어’로 풀이돼 있다. 그런데 최근 문헌이나 방송 쪽 자료를 보면 ‘감언’이나 ‘고언’보다 ‘단소리’와 ‘쓴소리’가 훨씬 자주 쓰이는 편이다.

“… 단소리만 받아들이고 쓴소리는 받아들일 용기가 없는 모양이라고 ‘일침’을 놓은 뒤 ….”(〈한겨레〉) “… 시장은 단소리만 좋아하고 쓴소리 하는 의원들에겐 미운털을 박아놓고 저런답니다.”(명쾌한 외, 〈단소리 쓴소리〉)

‘단소리’와 ‘쓴소리’를 이처럼 자주 쓴다면 옹근 자격을 줘야 할 것이다. 파생어 ‘단소리하다’와 ‘쓴소리하다’도 마찬가지다.

‘듣기 좋게 꾸며 하는 말’인 ‘단소리’보다 ‘듣기에는 거슬리나 도움이 되는 말’인 ‘쓴소리’에 귀기울이는 자세가 필요하겠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5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2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207
3106 인구에 회자되다 바람의종 2008.01.27 13679
3105 앳띠다 바람의종 2010.08.07 13675
3104 송글송글, 송긋송긋 바람의종 2012.04.30 13662
3103 모기버섯, 봉양버섯 바람의종 2009.11.19 13648
3102 삼박하다 風磬 2006.12.26 13635
3101 여염집 바람의종 2007.05.17 13586
3100 효시 바람의종 2007.10.08 13565
3099 ‘꾹돈’과 ‘모대기다’ 바람의종 2010.05.09 13537
3098 벌이다와 벌리다 바람의종 2010.04.06 13503
3097 절절이 / 절절히 바람의종 2010.02.22 13502
3096 가늠,가름,갈음 바람의종 2010.03.23 13497
3095 기구하다 바람의종 2007.05.06 13486
3094 '~어하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4.18 13485
3093 X-mas 바람의종 2011.12.26 13484
3092 메우다, 채우다 바람의종 2009.09.22 13483
3091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479
3090 경을 치다 바람의종 2007.12.27 13476
3089 집히다 / 짚이다 바람의종 2011.11.17 13465
3088 해장 바람의종 2012.07.23 13455
3087 노파심 바람의종 2010.11.01 13453
3086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447
3085 냄비, 남비 바람의종 2010.01.15 1344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