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2.17 21:30

내 청춘에게?

조회 수 123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내 청춘에게?

나는 매주 한 번 이상 영화관에 가서 영화를 본다. 그렇게 본 영화에는 독립영화 ‘내 청춘에게 고함’(2006)도 있다. 그런데 영화 제목을 처음 접하자마자 아주 부자연스럽다고 느꼈다. ‘청춘에게’의 ‘에게’ 때문이다.

우리말에서 ‘에게’는 “사람들에게 소식을 알리다” “개에게 먹이를 주다” 등처럼 사람이나 동물을 나타내는 말 뒤에 붙는 격 조사이다. “본부에 상황을 알리다” “나는 꽃에 물을 주었다” 등처럼 식물이나 무생물을 나타내는 체언 뒤에는 ‘에게’ 대신 ‘에’가 붙는다. 체언의 의미에 따라 ‘에게’와 ‘에’를 구분해 쓰는 것이다. 물론 동시나 동화에서 식물이나 무생물을 의인화한 경우 “나무에게 말하다”처럼 식물이나 무생물이라도 ‘에게’를 쓸 수 있다.

그런데 영화 ‘내 청춘에게 고함’에서 ‘청춘’은 ‘십 대 후반에서 이십 대에 걸치는 인생의 젊은 나이 또는 그런 시절’을 이르는 말로서 무생물이다. 무생물인 ‘청춘’을 의인화한 것으로 볼 수도 없다. 따라서 ‘청춘’ 뒤에는 ‘에게’가 아닌 ‘에’를 써야 한다.

한편 그 의미가 쉽게 파악되지 않는 몇몇 체언이 있어 주의를 요한다. “○○ 세대에/에게 바치다”의 ‘세대’가 바로 그것이다. 이로 인해 ‘세대’ 뒤에 ‘에게’를 써야 할지 ‘에’를 써야 할지 헷갈릴 수 있다. ‘세대’는 ‘어린아이가 성장하여 부모 일을 계승할 때까지의 약 30년 정도 되는 기간’(무생물)과 ‘같은 시대에 살면서 공통의 의식을 가지는 비슷한 연령층의 사람 전체’(사람)의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세대’ 뒤에는 그 의미에 따라 ‘에’를 쓸 수도 있고 ‘에게’를 쓸 수도 있다. ‘계급’이나 ‘계층’도 그런 체언에 해당한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4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9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17
26 후덥지근 / 후텁지근 바람의종 2012.05.30 11452
25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282
24 훈민정음 반포 565돌 바람의종 2011.11.20 14528
23 훈방, 석방 바람의종 2010.07.23 14724
22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213
21 휘거 風文 2014.12.05 24872
20 휘발성 바람의종 2010.08.07 14678
19 휘파람새 file 바람의종 2009.09.03 11930
18 휘하 바람의종 2007.10.09 13222
17 휘호 바람의종 2008.11.13 10785
16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408
15 휴거 바람의종 2007.10.10 15030
14 흉내 / 시늉 바람의종 2009.09.07 11607
13 흉칙하다 바람의종 2009.02.02 16059
12 흐리멍텅하다 바람의종 2009.11.09 13365
11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288
10 흙성과 가린여흘 바람의종 2008.05.31 11028
9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바람의종 2008.03.08 15946
8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511
7 흥정 바람의종 2009.06.09 9843
6 희망 바람의종 2007.10.11 10970
5 희쭈그리 바람의종 2008.02.29 1354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