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4.01.04 11:00

‘폭팔’과 ‘망말’

조회 수 12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폭팔’과 ‘망말’

방송이나 신문에서 ‘폭팔’과 ‘망말’이라는 말을 자주 접할 수 있다. “○○, 카리스마 폭팔”과 “망말…주변국 반발”처럼 ‘폭팔’과 ‘망말’을 빈번하게 쓰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폭팔’과 ‘망말’은 각각 한자어인 ‘폭발(暴發)’과 ‘망발(妄發)’의 잘못이다. 폭발은 ‘감정, 힘, 열기 따위가 일시에 세찬 기세로 나옴’을, 망발은 ‘망령이나 실수로 그릇되게 하는 말이나 행동’을 뜻한다.

먼저 ‘폭발(暴發)’은 앞 음절과 뒤 음절의 첫소리가 각각 ‘ㅍ’과 ‘ㅂ’으로 모두 순음(입술소리)이다. 그런데 앞 음절 ‘ㅍ’의 영향으로, 뒤 음절의 ‘ㅂ’을 ‘ㅍ’으로 잘못 발음하게 되었다. 즉, [폭빨]이 아닌 [폭팔]로 발음하게 되었다. 또한 거기에 그치지 않고, 잘못된 발음에 따라 ‘폭팔’로 적는 데까지 이르게 되었다.

‘망발(妄發)’ 또한 앞 음절과 뒤 음절의 첫소리가 각각 ‘ㅁ’과 ‘ㅂ’으로 모두 순음이다. 그런데 앞 음절 ‘ㅁ’의 영향으로, 뒤 음절의 ‘ㅂ’을 ‘ㅁ’으로 잘못 발음하게 되었다. 즉, [망:말]로 발음하게 되었다. 여기에는 고유어 ‘막말’ 및 한자어 ‘망언(妄言)’도 얼마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함부로 하는 말’을 뜻하는 고유어 ‘막말([망말]로 소리 남)’ 및 ‘이치나 사리에 맞지 아니하고 망령되게 하는 말’을 뜻하는 ‘망언(妄言, [망:언])’과 크게 혼동을 일으켜 이런 잘못이 일어났다.

‘폭팔’과 ‘망말’은 모두 한자어 ‘폭발’과 ‘망발’의 잘못된 발음에서 비롯되었다. 그리고 이는 어휘 지식이 크게 부족한 사람들에게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잘못이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부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7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91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855
48 상석 風文 2023.12.05 1125
47 드라이브 스루 風文 2023.12.05 1308
46 '넓다'와 '밟다' 風文 2023.12.06 1318
45 가짜와 인공 風文 2023.12.18 1076
44 어떤 반성문 風文 2023.12.20 972
43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1041
42 여보세요? 風文 2023.12.22 989
41 '-시키다’ 風文 2023.12.22 1104
40 한소끔과 한 움큼 風文 2023.12.28 1235
39 ‘며칠’과 ‘몇 일’ 風文 2023.12.28 1122
38 ‘~스런’ 風文 2023.12.29 1186
37 뒤치다꺼리 風文 2023.12.29 1166
36 “이 와중에 참석해 주신 내외빈께” 風文 2023.12.30 1077
35 ‘이고세’와 ‘푸르지오’ 風文 2023.12.30 1183
34 한 두름, 한 손 風文 2024.01.02 1118
33 아주버님, 처남댁 風文 2024.01.02 1052
32 내일러 風文 2024.01.03 1108
31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242
» ‘폭팔’과 ‘망말’ 風文 2024.01.04 1205
29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174
28 북한의 ‘한글날’ 風文 2024.01.06 1234
27 사라져 가는 한글 간판 風文 2024.01.06 12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