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11.14 01:38

본정통(本町通)

조회 수 14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본정통(本町通)

광복하고 70년이지만 일제의 잔재가 지명 곳곳에 여전히 남아 있다는 방송 뉴스를 며칠 전 접했다. 서울의 현재 지명인 ‘낙원동’과 ‘계동’이 그것으로, 본래 ‘탑동’과 ‘계생동’으로 불리던 것이 일제에 의해 왜곡되었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1980년대 중반 내가 3년간 살았던 청주의 ‘본정통’도 그런 지명 가운데 하나이다.

‘본정통(本町通ㆍ혼마치도리)’은 일본 사람들이 일반적인 도로 명칭으로 널리 쓰는 것 가운데 하나이다. ‘본정(本町)’은 ‘한 도시의 중심이 되는 거리’를, ‘통(通)’은 ‘길’을 뜻한다. 즉 ‘본정통’은 ‘도시 중심가의 길’을 가리킨다. 일본에서는 지금도 ‘도시 중심가의 길’을 가리켜 ‘본정통’이라 한다. 오사카, 교토 등의 도시에서 ‘본정통’이라는 지명은 흔하게 볼 수 있다.

일제 강점기 때 서울, 부산, 청주, 군산 등의 도시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를 가리켜 ‘본정통’이라 했다. 청주의 ‘본정통’은 본래 ‘성안길’이었는데, 일제에 의해 ‘본정통’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러다가 1990년대 지역 언론과 시민 단체의 노력으로 본래의 지명인 ‘성안길’로 복원되었다.

그럼에도 나와 같은 40대 이상의 사람들에게는 아직 ‘성안길’보다는 ‘본정통’이 더 자연스럽다. 어릴 적부터 줄곧 ‘본정통’으로 불러 왔고, 그곳에서 보낸 젊은 시절의 추억이 그 이름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어 버렸기 때문이리라! 이처럼 지명 하나 바꾸어 쓰는 것조차 쉬운 일이 아니다. 일제 잔재가 우리의 언어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광복절을 맞아 우리의 아픈 과거가 반복되지 않기를, 그로 인해 우리의 언어생활이 또다시 왜곡되지 않기를 바라 본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28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9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791
70 성적이 수치스럽다고? 風文 2023.11.10 1588
69 피동형을 즐기라 風文 2023.11.11 1434
68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469
67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477
»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442
65 조의금 봉투 風文 2023.11.15 1399
64 후텁지근한 風文 2023.11.15 1678
63 붓다 / 붇다 風文 2023.11.15 1441
62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473
61 부사, 문득 風文 2023.11.16 1197
60 쓰봉 風文 2023.11.16 1311
59 까치발 風文 2023.11.20 1445
58 ‘가오’와 ‘간지’ 風文 2023.11.20 1459
57 주현씨가 말했다 風文 2023.11.21 1450
56 군색한, 궁색한 風文 2023.11.21 1342
55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294
54 '밖에'의 띄어쓰기 風文 2023.11.22 1458
53 내색 風文 2023.11.24 1213
52 ‘개덥다’고? 風文 2023.11.24 1802
51 반동과 리액션 風文 2023.11.25 1458
50 '마징가 Z'와 'DMZ' 風文 2023.11.25 1645
49 흰 백일홍? 風文 2023.11.27 20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