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4.26 10:49

용찬 샘, 용찬 씨

조회 수 110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용찬 샘, 용찬 씨

우리 과 학생들 가운데 몇몇은 나를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 ‘용찬 샘’이라 한다. 그런데 이 말은 아무리 봐도 자연스러워 보이지 않는다. ‘용찬 샘’을 ‘용찬 선생님’으로 고쳐 부르거나 가리켜 이른다 해도 마찬가지이다.

아랫사람인 학생이 윗사람인 나를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에는 그냥 ‘선생님’이라 하거나, 성명 뒤에 ‘선생님’을 붙여 ‘박용찬 선생님’이라 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고 예의에 맞는다. 간혹 이름을 뺀 성 뒤에 ‘선생님’을 붙여 ‘박 선생님’이라 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박용찬 선생님’이라 하는 것이 더 예의에 맞는다. 이는 외국 사람을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버락 오바마 대통령’ 또는 ‘오마바 대통령’이라 하지 ‘버락 대통령’이라 하지 않는다.

한편 우리말에는 그 사람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쓰이는 ‘씨’가 있다. 그런데 ‘씨’는 더 이상 ‘높임’의 의미를 갖는 말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 윗사람이 아닌, 동료나 아랫사람에게 ‘박용찬 씨’ ‘용찬 씨’라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데서 얼마간 알 수 있다. ‘씨’가 ‘높임’의 의미를 잃게 됨에 따라 20세기 중반부터 그 사람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씨’대신 ‘님’이 쓰여 왔다. 비격식적인 자리에서는 친근함을 드러내기 위해 ‘용찬 님’을 쓰기도 한다.

격식을 갖춰야 하는 자리에서는 예의에 맞는 부름말과 가리킴말을 골라 써야 한다. 비격식적인 자리에서는 친근함을 드러내기 위해, 덜 예의를 차린 부름말과 가리킴말을 쓸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이 친근함을 넘어서서 결례가 되는 말이라면 그 사용을 삼가야 한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0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6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84
114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風文 2023.04.18 1224
113 내연녀와 동거인 風文 2023.04.19 1048
112 막냇동생 風文 2023.04.20 924
111 댄싱 나인 시즌 스리 風文 2023.04.21 983
110 너무 風文 2023.04.24 1380
109 개양귀비 風文 2023.04.25 1353
»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107
107 돼지껍데기 風文 2023.04.28 1234
106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177
105 단골 風文 2023.05.22 1371
104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208
103 ‘이’와 ‘히’ 風文 2023.05.26 1202
102 도긴개긴 風文 2023.05.27 1245
101 아이 위시 아파트 風文 2023.05.28 1387
100 예민한 ‘분’ 風文 2023.05.29 1179
99 프로듀사 風文 2023.05.30 1542
98 김 여사 風文 2023.05.31 1167
97 ‘부끄부끄’ ‘쓰담쓰담’ 風文 2023.06.02 1236
96 이 자리를 빌려 風文 2023.06.06 1386
95 망신 風文 2023.06.09 1466
94 말 많은 거짓말쟁이 챗GPT, 침묵의 의미를 알까 風文 2023.06.14 1415
93 ‘파바’와 ‘롯리’ 風文 2023.06.16 10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