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4.26 10:49

용찬 샘, 용찬 씨

조회 수 119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용찬 샘, 용찬 씨

우리 과 학생들 가운데 몇몇은 나를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 ‘용찬 샘’이라 한다. 그런데 이 말은 아무리 봐도 자연스러워 보이지 않는다. ‘용찬 샘’을 ‘용찬 선생님’으로 고쳐 부르거나 가리켜 이른다 해도 마찬가지이다.

아랫사람인 학생이 윗사람인 나를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에는 그냥 ‘선생님’이라 하거나, 성명 뒤에 ‘선생님’을 붙여 ‘박용찬 선생님’이라 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럽고 예의에 맞는다. 간혹 이름을 뺀 성 뒤에 ‘선생님’을 붙여 ‘박 선생님’이라 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박용찬 선생님’이라 하는 것이 더 예의에 맞는다. 이는 외국 사람을 부르거나 가리켜 이를 때에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버락 오바마 대통령’ 또는 ‘오마바 대통령’이라 하지 ‘버락 대통령’이라 하지 않는다.

한편 우리말에는 그 사람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쓰이는 ‘씨’가 있다. 그런데 ‘씨’는 더 이상 ‘높임’의 의미를 갖는 말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 윗사람이 아닌, 동료나 아랫사람에게 ‘박용찬 씨’ ‘용찬 씨’라 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데서 얼마간 알 수 있다. ‘씨’가 ‘높임’의 의미를 잃게 됨에 따라 20세기 중반부터 그 사람을 높여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씨’대신 ‘님’이 쓰여 왔다. 비격식적인 자리에서는 친근함을 드러내기 위해 ‘용찬 님’을 쓰기도 한다.

격식을 갖춰야 하는 자리에서는 예의에 맞는 부름말과 가리킴말을 골라 써야 한다. 비격식적인 자리에서는 친근함을 드러내기 위해, 덜 예의를 차린 부름말과 가리킴말을 쓸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이 친근함을 넘어서서 결례가 되는 말이라면 그 사용을 삼가야 한다.

박용찬 대구대 국어교육과 조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5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97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012
3348 X-mas 바람의종 2011.12.26 13445
3347 X세대 바람의종 2008.02.20 8423
3346 [re] 시치미를 떼다 file 바람의종 2010.11.17 13026
3345 ~ ㄴ걸 / ~ ㄹ 걸 바람의종 2008.12.11 10238
3344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338
3343 ~ 화(化) 바람의종 2009.09.06 6864
3342 ~ㄴ 바 바람의종 2010.11.02 11167
3341 ~같이 바람의종 2010.05.10 9529
3340 ~겠다, ~것다 바람의종 2010.07.10 10546
3339 ~과 다름 아니다 바람의종 2008.11.01 9014
3338 ~까지, ~조차, ~마저 바람의종 2009.03.23 11540
3337 ~노, ~나 바람의종 2010.09.05 8920
3336 ~는가 알아보다 바람의종 2009.09.27 8315
3335 ~다 라고 말했다 바람의종 2010.03.15 12144
3334 ~다오, ~주라 바람의종 2011.12.05 8280
3333 ~답다, ~스럽다 바람의종 2010.11.21 9490
3332 ~대, ~데 바람의종 2011.12.04 12987
3331 ~던가, ~든가 바람의종 2008.07.12 11965
3330 ~데 반해 / ~데 비해 바람의종 2010.02.28 17445
3329 ~도 불구하고 바람의종 2012.10.02 11478
3328 ~되겠, ~되세 바람의종 2009.03.30 6569
3327 ~든 / ~던 바람의종 2011.11.27 108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