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3.04.20 09:54

막냇동생

조회 수 10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막냇동생

얼마 전 ‘99.9%가 틀리는 맞춤법’이란 온라인 게시물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막내동생’이 아니라 ‘막냇동생’이 맞는 표기라는 내용이었다. 놀랍다는 댓글이 여럿 달리면서 ‘막냇동생’은 순식간에 인기 검색어가 되었다. 왜 ‘막내동생’으로 쓰지 않고 ‘막냇동생’으로 적는 걸까? 누리꾼들이 궁금하게 여긴 이 말에 우리말의 달인도 어려워한다는 사이시옷 규칙이 들어있다.

사이시옷은 두 낱말이 합쳐져 새말을 이룰 때 뒷말의 첫 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경우에 적는다. ‘나루’와 ‘배’가 합쳐진 말이 ‘나루빼’로 소리 나서 ‘나룻배’로 적는 것처럼 ‘막내’와 ‘동생’이 합쳐진 말은 표준발음이 ‘망내똥생’이라서 ‘막냇동생’으로 적는 것이다. 그런데 ‘막냇동생’ 표기가 선뜻 이해되지 않는 것은 실제로는 많은 사람들이 ‘막내동생’으로 발음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표준발음과 표기를 바꿔야 하는 게 아닐까?

국립국어원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된소리(똥생) 발음이 35%로 예사소리(동생) 발음보다 적게 나타났다. 그러나 세대별로 차이가 있어서 20대는 16%만이 된소리 발음을 하지만 60대 이상은 63%로 아직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된소리 발음을 하고 있었다. 이에 ‘막냇동생’ 표기를 유지하기로 하였다.

수십 년 세월이 흘러 대부분의 사람들이 된소리 발음을 하지 않게 되면 그때는 ‘막내동생’으로 표기가 바뀔 수도 있을 것이다. 아니 어쩌면 수십 년 후에는 이 말의 표기를 고민할 필요가 없어질지도 모른다. ‘막냇동생’은 형제가 여럿인 경우에 쓸 수 있는 말인데, 그때 여러 형제를 가진 사람들이 과연 얼마나 될까?

정희원 국립국어원 어문연구실장

*‘톺아보기’는 ‘샅샅이 훑어 살펴보기’라는 뜻의 우리말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7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73
3348 헬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9.04.14 7946
3347 헤어진 옷 바람의종 2012.05.16 11083
3346 헤로인 / 슈퍼세이브 風文 2020.06.03 1653
3345 헤라시보리 바람의종 2012.09.21 17511
3344 헛이름 바람의종 2008.01.08 10708
3343 헛스윙, 헛웃음, 헛기침의 쓸모 風文 2023.01.09 1444
3342 험담 바람의종 2009.04.30 6709
3341 허풍선이 바람의종 2007.04.25 7886
3340 허접쓰레기/허섭스레기 바람의종 2008.09.20 9228
3339 허버지게 바람의종 2009.08.03 8563
3338 허발 바람의종 2010.04.25 11076
3337 허망헙디다 바람의종 2009.03.14 6653
3336 허리를 곧게 피다 바람의종 2012.05.03 11677
3335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273
3334 행여 바람의종 2008.03.28 7045
3333 행랑, 행낭 바람의종 2010.05.06 17524
3332 행길 바람의종 2007.04.25 11306
3331 행각 바람의종 2007.09.21 8198
3330 햇쌀, 햅쌀, 해쌀 바람의종 2009.02.19 14163
3329 햇빛은 눈부시고,햇볕은 뜨겁다 바람의종 2010.03.10 10292
3328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550
3327 햇볕, 햇빛, 햇살, 햇발 바람의종 2009.07.18 961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