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57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25배속 듣기에 사라진 것들

나는 말이 하염없이 느리다. 사이버대학에 올린 내 강의 동영상을 보다가 곧장 게시판에 항복 문서를 올렸다. ‘가만히 듣다 보면 어느새 졸음이 밀려옵디다. 재생 속도를 1.25배로 하니, 졸음이 조금 늦게 오시더군요.’

‘보통’ 속도로 보는 건 손해다. 1.25배속으로 봐도 ‘줄거리 파악’에 아무 어려움이 없다. 출연자의 목소리가 가늘어지고 신경질적으로 들리긴 하지만, 바쁜 시간을 알뜰하게 아껴 쓴다는 실용주의자의 자부심을 심어준다.

여기에 맛을 들이면서 영상예술에 대한 감각이 변질되더군. 내용과 형식이 분리될 수 있으며, 형식보다는 내용이 더 중요하다는 착각 말이다. 속도를 높일수록 우리 귀는 내용(메시지)만을 쫓는다. 조각난 작품을 읽고 재빨리 주제를 파악하는 걸로 국어 실력을 가늠하는 것처럼, 줄거리만 간추리면 영상을 다 본 것. 목소리나 말의 속도, 음색 같은 건 선물을 싼 포장지일 뿐.

우리는 줄거리, 핵심 내용, 주제를 뽑기 위해 영상을 보는 게 아니다. 작품 자체가 갖는 고유한 물질성, 질감, 현장성 같은 것에 녹아 들려고 본다. 우리가 예술에 다가가는 이유는 그 속에 낱낱의 고유한 삶의 형식들이 제시되기 때문이다. 한 사람의 느리고 어눌하고, 어떤 생각이 다른 생각을 간섭하고 뒤엉키는 그 머뭇거림의 형식 자체에 마음이 격동되기를 바라며. 형식에 대한 무시는 예술을 메마르게 한다. 말은 단어와 단어 사이에 있는 허공과도 같은 빈틈과 함께 이해되어야 한다. 속도를 늘릴수록 우리는 말해지지 않은 것, 표현되지 않은 것이야말로 예술의 본질에 더 근접해 있다는 걸 망각하게 된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16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8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683
3238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469
3237 우리와 외국인, 글자 즐기기 風文 2022.06.17 1470
3236 있다가, 이따가 風文 2024.01.03 1471
3235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472
3234 대통령과 책방 風文 2023.05.12 1473
3233 저리다 / 절이다 風文 2023.11.15 1473
3232 '-시키다’ 風文 2023.12.22 1473
3231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74
3230 과잉 수정 風文 2022.05.23 1474
3229 기역 대신 ‘기윽’은 어떨까, 가르치기도 편한데 風文 2023.11.14 1477
3228 지슬 風文 2020.04.29 1478
3227 아카시아 1, 2 風文 2020.05.31 1479
3226 태극 전사들 風文 2022.01.29 1479
3225 적과의 동침, 어미 천국 風文 2022.07.31 1479
3224 말의 평가절하 관리자 2022.01.31 1481
3223 뉴 노멀, 막말을 위한 변명 風文 2022.08.14 1481
3222 정치와 은유(2, 3) 風文 2022.10.13 1483
3221 두꺼운 다리, 얇은 허리 風文 2023.05.24 1483
3220 부동층이 부럽다, 선입견 風文 2022.10.15 1485
3219 마녀사냥 風文 2022.01.13 1488
3218 말로 하는 정치 風文 2022.01.21 1488
3217 순직 風文 2022.02.01 14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