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143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다만, 다만, 다만

‘사이시옷’ 규정을 아시는지? 두 단어가 만나 새 단어가 생길 때 뒤에 오는 단어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바뀌거나 ‘ㄴ’ 소리가 덧날 때 ‘ㅅ’을 붙인다. 그래서 ‘바닷가’, ‘나뭇잎’이다.

이 규정에 맞게 쓸 조건을 보자. 먼저, 두 단어의 출신 성분을 알아야 한다. ‘고유어+고유어’, ‘고유어+한자어’, ‘한자어+고유어’일 때만 적용된다. ‘한자어+한자어’에는 쓰지 않는다. [화뼝], [대까]라 해도 ‘화병(火病), 대가(代價)’이다. 다만, 다음 단어는 한자어인데도 예외.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 이유도 없다. 외우라. 게다가 해당 조항을 ‘두 음절로 된 한자어’라 한 게 더 문제다. ‘세 음절’이면 적용이 안 된다. 그래서 ‘전세방’은 ‘ㅅ’을 못 쓴다. ‘전셋집’은 ‘집’이 고유어라 사이시옷! 모아놓으면, ‘셋방, 전세방, 전셋집, 사글셋방, 월세방, 월셋집’(아, 헷갈려).

다른 규정과 섞어보자. 수컷을 이르는 접두사는 ‘수-’이다. ‘수나사, 수놈, 수소’라고 써야 한다. ‘숫나사, 숫놈, 숫소’는 틀린다. 다만, 다음 세 단어는 ‘숫-’으로 한다. ‘숫양, 숫염소, 숫쥐’. 법은 법, 그냥 외우라. 이 세 동물만 ‘숫-’을 쓰고, 다음 단어들은 발음 불문하고 ‘수-’를 쓴다. ‘수여우, 수지네, 수제비’(와우). 학생 중 열에 아홉은 잠이 든다. 법은 단순할수록 좋다. ‘위험한 일을 시키면 처벌한다. 다만, 50인 미만 3년 유예, 다만, 5인 미만 사업장은 제외, 다만 공무원은 제외.’ 더불어민주당은 사회를 안전하게 바꿀 기회를 ‘다만’으로 걷어찼다.



뒷담화

일종의 중독증이자 ‘인간적’ 성향. 끊기 쉽지 않다. 우리는 말을 통한 협력을 좋아하기 때문에 뒷담화를 즐긴다. 눈치 보지 않고 누군가를 통쾌하게 ‘씹을’ 수 있다면 기쁘지 아니한가. 십중팔구 선행보다 악행을 ‘씹게’ 되는데 유익한 면이 없지 않다.

자리에 없는 사람이 행한 각종 나쁜 짓을 다루기 때문에, 집단의 윤리적 기준을 재확인할 수 있다. 무릇 평범한 사람들은 이기심, 무례함, 비열함, 뻔뻔함, 폭력성, 부패를 반대한다. 뒷담화는 이런 기준을 어긴 사람에 대해 말로 내리는 징계이다. 뒷담화를 까는 동안, 우리는 누구보다도 ‘윤리적 존재’로 승화된다. ‘나 아직 걔처럼 안 썩었어!’ 남 씹으며 거룩해지기.

유명인에 대한 뒷담화야 ‘수다’ 차원에서 끝나지만, 눈에 보이는 사람에 대한 뒷담화는 다르다. 관계를 규정하고 구성하는 직접성이 있다. 게다가 말하는 이가 연루된 얘기라면 더욱 열을 올리게 된다. 자리에 없는 사람에 대해서는 평가를, 자신에 대해서는 변호를 해야 한다. 일인이역은 뭐든 바쁘다. 총알이 당사자를 맞추지 못하니 본인이 내상을 입기 십상.

‘당사자 부재’라는 상황은 뒷담화의 결과를 예상하기 어렵게 만든다. 부풀었다가 이내 터지는 풍선껌처럼 자리에서 일어나면 사라지는 걸로 보이지만, 자기 확신이 강화되고 분심만 쌓일 뿐. 사람을 소외시키는 배제의 기제로 작동하기도 한다. 부조리가 심한 곳에서는 약자 사이의 위안과 유대감을 확인하는 통로이자, 악행을 공론화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성숙한 인간 되기는 이 피할 수 없는 ‘뒷담화’를 어떻게 다루는가에 달려 있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63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2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022
3282 사저와 자택 風文 2022.01.30 1504
3281 애정하다, 예쁜 말은 없다 風文 2022.07.28 1505
3280 온실과 야생, 학교, 의미의 반사 風文 2022.09.01 1506
3279 금새 / 금세 風文 2023.10.08 1507
3278 지슬 風文 2020.04.29 1509
3277 분단 중독증, 잡것의 가치 風文 2022.06.09 1510
3276 용찬 샘, 용찬 씨 風文 2023.04.26 1511
3275 공공언어의 주인, 언어학자는 빠져! 風文 2022.07.27 1516
3274 인종 구분 風文 2022.05.09 1517
3273 올가을 첫눈 / 김치 風文 2020.05.20 1518
3272 난민과 탈북자 風文 2021.10.28 1518
3271 본정통(本町通) 風文 2023.11.14 1522
3270 까치발 風文 2023.11.20 1522
3269 ‘내 부인’이 돼 달라고? 風文 2023.11.01 1523
3268 언어적 적폐 風文 2022.02.08 1525
3267 말의 바깥, 말의 아나키즘 風文 2022.08.28 1528
3266 유신의 추억 風文 2021.11.15 1534
3265 이단, 공교롭다 風文 2022.08.07 1534
3264 정보와 담론, 덕담 風文 2022.06.15 1536
3263 주시경, 대칭적 소통 風文 2022.06.29 1537
3262 구경꾼의 말 風文 2022.12.19 1537
3261 김 여사 風文 2023.05.31 15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