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8.07 06:41

이단, 공교롭다

조회 수 120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공교롭다

생각지도 못한 일이 우연히 일어났을 때 쓰는 말. 하지만 어근인 ‘공교’(工巧)는 반대로 ‘솜씨 있고 실력 있다’는 뜻이다. 뛰어난 장인은 작은 실수도 놓치지 않는 섬세함으로 공교한 기술을 연마한다. ‘공교한 작품’은 요행이 아니라 성실한 노력과 몰입의 열매다. 홀로 보낸 시간의 두께에 비례한다. 그래서 ‘공교롭다’는 말에는 우연한 일의 뒷면에 인연의 그물이 촘촘히 쳐져 있다는 뜻이 담겨 있다. ‘우연찮게’(우연하지 않게)가 ‘우연히’란 뜻과 같아진 것처럼, ‘공교롭다’는 한 낱말 안에 ‘우연과 필연(운명)’이 하나라고 새겨놓았다.

공교롭게도 코로나는 우리 사회의 약점을 드러내고 있다. 코로나는 사회경제적 약자, 배제되고 뒤처지고 깨어진 자들에게 가장 먼저 찾아와 가장 노골적으로 괴롭히다가 가장 나중까지 머무를 것이다. 공교롭게도 코로나는 신천지 교단의 폐쇄성을 숙주 삼아 우리 사회를 들쑤시고 있다. 배타성, 선민의식, 물신숭배, 성장제일주의는 신천지만의 문제가 아니다.

일본에는 독특한 도자기 수리 기법이 있다. ‘금 꿰매기’, ‘금 수선’ 정도로 읽히는 긴쓰쿠로이(金繕い)는 깨어진 도자기를 버리는 대신 옻 성분의 접착제로 조각을 이어 붙이고 금가루로 칠을 하여 깨어진 도자기만의 아름다움을 새로 창조하는 기술이다. 흉터를 금빛으로 탈바꿈함으로써 부서짐을 감추지 않고 그 또한 역사로 기꺼이 받아들이려는 자세다. 우리가 신의 피조물이라면 이 깨어진 세상에서 더욱 연대할 의무밖에 없다. 깨지고 찢어진 사회를 이어 붙이는 공교한 실력을 추구할 뿐이다. 우연이란 없다.


……………………………………………………………………………………………………………

이단

다른[異] 끝[端]. 끝이 다르다. 시작과 중간은 같았다. 다른 옳음. 무엇이 옳은지 다르게 생각하는 데서 오는 갈라짐. ‘옳지 않다’고 하려면 ‘옳음’의 기준이 있어야 한다. 옳지 않음은 진리에 미달했다기보다는 거짓의 편에 섰다는 뜻에 가깝다. 어떤 이야기 구조 속에 있느냐에 따라 이단은 서로를 향하는 총알.

이단에 속한 사람은 전통과 권위에 도전한다. ‘이단아’라는 말에는 ‘권위에 맞섬, 엉뚱함, 아웃사이더, 혁신’의 이미지가 풍긴다. 유독 기독교에 이단·사이비가 많은데, 신이 자신의 모습 그대로가 아닌 인간의 모습으로 왔다는 데에 이 종교의 심오함과 딜레마가 있다.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아니 상상으로밖에 가늠할 수 없는 존재에 대한 믿음의 체계이다. ‘신이면서 인간’인 예수. ‘A이면서 B’라는 등식은 동시에 ‘A도 아니고 B도 아니’라는 말도 된다. 신이면서 인간인 존재는 신도 아니고 인간도 아닌 존재다. 그게 기독교의 시작점이다. 그래서 쉽게 끝이 달라진다.

‘알 수 없는’ 존재가 우리 곁에 온 사건 때문에 이단에 잘 빠지는 걸까? 아니다. 그 역사적 사건이 ‘반드시’ 자기가 살아 있는 동안에 한 번 더 벌어져야 한다는 욕망이 근본 문제다. 자신이 끝이자 시작이려고 하는 욕망. 우리는 끝도 시작도 아닐지 모른다. 아무것도 보지 못하더라도 우리는 살아가야 한다. 예수는 신이면서 인간이었다. 신도 아니고 인간도 아니었다. 우리도 나이면서 남이다. 나도 아니고 남도 아니다. 이 둘 사이의 줄타기는 삶 속에 뒤엉켜 거듭 드러날 뿐. 그 외에는 모른다.


김진해 /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경희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11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67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661
3260 겻불 風磬 2006.09.14 15901
3259 ‘뜨더국’과 ‘마치다’ 바람의종 2010.04.02 15878
3258 어안이 벙벙하다 바람의종 2008.01.25 15876
3257 께 / 게 바람의종 2010.08.27 15869
3256 알토란 같다 바람의종 2008.01.24 15865
3255 ‘감투’와 ‘망탕’ 바람의종 2010.03.23 15833
3254 쥐어 주다, 쥐여 주다 바람의종 2008.09.23 15815
3253 빗어 주다, 빗겨 주다 바람의종 2009.10.06 15771
3252 유돌이, 유도리 바람의종 2011.12.04 15654
3251 끝발, 끗발 바람의종 2010.03.17 15620
3250 안치다, 안히다 / 무치다, 묻히다 바람의종 2009.05.01 15616
3249 똔똔 / 도긴 개긴 바람의종 2012.07.13 15564
3248 고명딸 風磬 2006.09.16 15544
3247 '꼴' 띄어쓰기 바람의종 2012.09.19 15509
3246 흡인력, 흡입력 바람의종 2009.11.12 15504
3245 여자 팔자 뒤웅박 팔자 바람의종 2008.01.26 15501
3244 않는, 않은 바람의종 2008.09.29 15470
3243 잎, 잎새, 잎사귀, 이파리 바람의종 2009.10.02 15457
3242 곤죽 바람의종 2010.04.17 15442
3241 단박하다, 담박하다 / 담백하다, 담박하다 바람의종 2012.04.23 15415
3240 한번과 한 번 1 바람의종 2010.08.14 15412
3239 휫바람, 휘바람, 휘파람 바람의종 2009.06.30 154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