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28 22:52

외래어의 된소리

조회 수 11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외래어의 된소리

한때 국민 점심 ‘짜장면’의 바른 표기가 ‘자장면’이었던 적이 있었다. 몇 가지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외래어 표기에 된소리를 안 쓰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이젠 둘 다 인정을 받는다. 다행히 ‘짬뽕’과 ‘껌’은 굳어진 관행으로 인정을 받아서 굳이 ‘잠봉’이나 ‘검’으로 적을 필요가 없었다. ‘짬뽕하다’라든지 ‘껌값’ 등의 파생어가 생겨서 이미 손을 쓸 수도 없었다.

우리의 언어 현실에서는 사실 외래어를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다 보니 외래어 표기 규범과 충돌된다. 자연히, 표기할 때는 부드러운 예사소리로, 발음할 때는 익숙한 된소리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글 쓸 때는 ‘버스, 가스’, 말할 때는 ‘[뻐스], [까스]’ 하는 식이다. 그러다 보니 독한 ‘빼갈’ 마실 때는 된소리로 말하고, 사전을 찾을 때는 ‘배갈’을 찾아야 하는 모순이 생긴다.

아예 예사소리로 발음하면 의미 전달이 안 되는 경우도 있다. 뒷배가 든든한 사람을 가리켜 ‘빽이 좋은 사람’이라고 하면 무슨 말인지 알겠는데 ‘백이 좋은 사람’이라고 하면 그냥 멍해진다. 자동차 타이어가 터지거나 미리 잡은 일정이 취소됐을 때 또 낙제 학점이 나왔을 때, [빵꾸]가 났다고들 하는데, 길거리의 정비공장에는 ‘빵구’라고 씌어 있는 곳이 많다. 그런데 신문 기사에는 대개 ‘펑크’라고 표기된다. 세 가지의 변이가 생긴 것이다.

이렇게 통속적으로 사용되는 외래어를 엄격한 표기 규범의 틀 안에서 해결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애를 쓰면 쓸수록 규정의 이상과 언어의 현실 사이의 틈만 벌어진다. 이렇게 통속적 경로로 들어온 외래어는 규정에 ‘관습적 형태’라고 해서 따로 인정해주는 편이 더 유용하지 않을까 한다. 그래야 표준어 관리자도, 언어 사용자들도 편해진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73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23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161
3150 좌익 바람의종 2007.08.20 6623
3149 지양 바람의종 2007.08.20 9979
3148 지척 바람의종 2007.08.21 6801
3147 지하철 바람의종 2007.08.21 8031
3146 지향 바람의종 2007.08.22 6638
3145 질곡 바람의종 2007.08.22 8020
3144 질풍, 강풍, 폭풍, 태풍 바람의종 2007.08.23 8500
3143 차례 바람의종 2007.08.23 6649
3142 청사 바람의종 2007.08.24 5949
3141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726
3140 청신호 바람의종 2007.08.30 7664
3139 초미 바람의종 2007.08.30 8646
3138 추파 바람의종 2007.08.31 11174
3137 퇴짜 바람의종 2007.08.31 10218
3136 배제하다?/최인호 바람의종 2007.08.31 8908
3135 우리말의 참된 가치 / 권재일 바람의종 2007.08.31 13215
3134 아사리판 / 한용운 바람의종 2007.08.31 11352
3133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374
3132 파경 바람의종 2007.09.01 10958
3131 파국 바람의종 2007.09.01 8892
3130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710
3129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7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