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2.01.09 20:56

올바른 명칭

조회 수 101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올바른 명칭

사물의 이름은 그리 객관적으로 혹은 중립적으로 지어지지는 않는다. 주로 명명자의 관심사나 희망사항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특히 그 이름이 정치적인 성격을 띨수록 이런 현상은 점점 더 심해진다. 정치야말로 자신이 품고 있는 가치와 열망을 극대화시켜 그에 반영하려 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더 나은 사회를 향해 앞으로 나아가려 한다면 정치적인 일에도 만민의 생각을 담은 상식을 제대로 반영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돌이켜보니 1980년대에 한국 정치를 휘두르며 숱한 정치적 희생자를 만들어냈던 집단은 스스로를 ‘민주적이고 정의로운’ 정당이라는 이름을 ‘감히’ 사용했다. 그뿐만 아니라 그 이전에 있었던 이른바 ‘유신’ 체제는 그 이름에 걸맞은 변혁과 혁신의 기능을 했느냐는 물음에 많은 이들이 도리질하게 된다. 말뜻만으로는 세상을 환하게 비출 것 같으면서도 사실은 울적한 그늘만 만들었던 이름들이다. 곧 상식과 맞지 않았다.

시위 진압 과정에서 크게 다쳐 오랜 입원 끝에 죽음에 이른 한 사람의 죽음에 어떤 이름을 붙이느냐로 말다툼이 치열하다. 의학적인 판단 못지않게 상식적이고 예의에 맞는 이름이 있기 마련이다. 그를 죽음에 이르게 한 원인을 외부에서 찾는다면 그 죽음을 사회적 문제로 받아들이게 될 것이고, 오로지 생리적인 신체 내부의 현상으로만 본다면 사회적 책임을 단절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과연 어느 것이 ‘상식’에 맞는 명명인가?

대학생 박종철군은 외부적인 고문으로 죽임을 당했는가, 아니면 호흡곤란으로 세상을 떠났는가? 이에 대해 상식적으로 대답을 해보자. 그리고 고 백남기씨의 문제를 정직하게 생각해보자. 올바른 이름은 그렇게 정해야 한다. 왜 이리 오래전에 있었던 일이 마치 현재 일처럼 가깝게 느껴지기만 하는지 모르겠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53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03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50
3128 낙지와 오징어 바람의종 2008.04.23 8889
3127 가히·논개② 바람의종 2008.04.23 9629
3126 나비나물 바람의종 2008.04.24 5819
3125 위례성과 아리수 바람의종 2008.04.24 8777
3124 설둥하다 바람의종 2008.04.25 6994
3123 오마대·기림대·오고타이 바람의종 2008.04.26 7632
3122 솔체꽃 바람의종 2008.04.26 7664
3121 공암진 바람의종 2008.04.27 7617
3120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127
3119 예비 바람의종 2008.04.28 7559
3118 터물·더믈 바람의종 2008.04.28 7869
3117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129
3116 패수와 열수 바람의종 2008.04.29 10293
3115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704
3114 갑작힘 바람의종 2008.04.30 8077
3113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397
3112 다정큼나무 바람의종 2008.05.01 8761
3111 실레마을과 시루 바람의종 2008.05.03 7638
3110 떡값 바람의종 2008.05.03 6735
3109 갑작사랑 바람의종 2008.05.05 7296
3108 금덩이·은덩이 바람의종 2008.05.05 10480
3107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68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