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10.30 10:10

소통과 삐딱함

조회 수 10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소통과 삐딱함

어떤 문제나 사건이 터졌을 때 당사자들이 사태를 수습하기 어려워하면 주변에서 호의적인 간여를 시작한다. 이럴 때는 자신이 유대감을 가진 사람이 누군지를 분명히 하는 것이 좋다. 사회적 약자를 위해 조언한다면서 그들에 대한 손톱만큼의 애정도 없이 오로지 ‘메마른 논리’만 가득 찬 말만 던지면 차라리 처음부터 끼어들지 않는 게 더 도움이 된다.

미국의 흑인들이 경찰들의 부당한 대우에 항의하면서 “흑인의 목숨도 소중하다”는 구호를 외친다. 이에 대해 일부 백인들은 “모든 이의 목숨도 중요하다”고 되받아치고 있다고 한다. 표면적으로 보기에는 백인들의 반응이 논리적으로 더 그럴듯해 보인다. 그러나 그 맥락을 들여다보면 구체적인 현실의 문제를 직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외면하거나 은폐하려 하는 삐딱함을 눈치챌 수 있다.

일부 변호사들이 최근에 들어온 탈북자들에 대해 인신구제 신청을 했다. 그에 대해 또 다른 탈북자들이 그 변호사들에게 북에 남은 가족들의 인권 상황 조사를 의뢰하는 신청을 했다고 한다. 표면적으로는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한 것 같기는 하다. 그러나 거기서도 마찬가지로 삐딱한 논리를 발견할 수 있다. 북녘 주민의 인권을 다룰 능력 없으면 남으로 온 탈북자들의 인권 문제를 함부로 건드리지 말라는 뜻을 넌지시 비치고 있는 것이다.

우리 사회에 소통이 아닌 불통이 흘러넘치게 된 까닭은 말의 뜻이나 문법을 몰라서가 아니다. 이런 식으로 소통 자체를 삐딱하게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논리적인 듯하면서도 비논리적이고, 소통을 지향하는 듯하면서도 뒤통수치기가 더 앞서고 있다. 문제를 정면으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소통은 문제의 해결보다는 문제의 확산을 불러온다. 불통은 언어에서 비롯한 게 아니라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김하수/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8525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09925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5Jan
    by 風文
    2022/01/15 by 風文
    Views 1482 

    지도자의 화법

  5. No Image 13Jan
    by 風文
    2022/01/13 by 風文
    Views 1337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중소기업 콤플렉스

  6. No Image 13Jan
    by 風文
    2022/01/13 by 風文
    Views 1343 

    주권자의 외침

  7. No Image 13Jan
    by 風文
    2022/01/13 by 風文
    Views 1300 

    마녀사냥

  8. No Image 12Jan
    by 風文
    2022/01/12 by 風文
    Views 1225 

    자백과 고백

  9. No Image 12Jan
    by 風文
    2022/01/12 by 風文
    Views 1332 

    오염된 소통

  10. No Image 11Jan
    by 風文
    2022/01/11 by 風文
    Views 1454 

    공화 정신

  11. No Image 11Jan
    by 風文
    2022/01/11 by 風文
    Views 1637 

    띄어쓰기 특례

  12. No Image 09Jan
    by 風文
    2022/01/09 by 風文
    Views 1036 

    올바른 명칭

  13. No Image 09Jan
    by 風文
    2022/01/09 by 風文
    Views 1399 

    한자를 몰라도

  14. No Image 07Jan
    by 風文
    2022/01/07 by 風文
    Views 1068 

    일고의 가치

  15. No Image 07Jan
    by 風文
    2022/01/07 by 風文
    Views 1357 

    할 말과 못할 말

  16. No Image 01Dec
    by 風文
    2021/12/01 by 風文
    Views 1304 

    공적인 말하기

  17. No Image 01Dec
    by 風文
    2021/12/01 by 風文
    Views 1154 

    더(the) 한국말

  18. No Image 15Nov
    by 風文
    2021/11/15 by 風文
    Views 1453 

    지명의 의의

  19. No Image 15Nov
    by 風文
    2021/11/15 by 風文
    Views 1255 

    유신의 추억

  20. No Image 10Nov
    by 風文
    2021/11/10 by 風文
    Views 1138 

    주어 없는 말

  21. No Image 10Nov
    by 風文
    2021/11/10 by 風文
    Views 1252 

    국민께 감사를

  22. No Image 02Nov
    by 風文
    2021/11/02 by 風文
    Views 1367 

    방언의 힘

  23. No Image 02Nov
    by 風文
    2021/11/02 by 風文
    Views 1538 

    평등을 향하여

  24. No Image 31Oct
    by 風文
    2021/10/31 by 風文
    Views 1061 

    왜 벌써 절망합니까 - 4. 선한 기업이 성공한다

  25. No Image 31Oct
    by 風文
    2021/10/31 by 風文
    Views 1369 

    외부인과 내부인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