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1.09.03 23:46

잡담의 가치

조회 수 6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잡담의 가치

 사람들이 모이면 처음에는 좀 조용하다가 이내 웅성거리고 수군거리게 된다. 자연히 목소리를 점점 더 높이게 되고 시끄러워진다. 이렇다 할 의미도 없어 보인다. 그래서 잡스럽다 하여 잡담이라는 명칭을 얻었다. 이들이 웅성거리는 것은 대개 기초 정보를 수집하고 교환하는 과정이다. 상황이 어찌 되는지, 어떻게 대처해야 손해 보지 않는지 등을 캐내려고 더듬이로 확인하는 중이다.

 아는 사람들이 모이면 금방 노닥거린다. 화제도 자유롭다. 주제의 일관성도 보이지 않는다. 이런 이야기 하다가 쉽게 저런 이야기로 돌변하기도 한다. 그런데도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전혀 부담스러워하거나 짜증스러워하지 않는다. 이것도 잡담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 과정도 그리 무의미하지는 않다. 서로의 감성을 공유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것이다.

 친한 사람들일수록 잡담을 많이 한다. 이렇다 할 결론도 없고, 뚜렷한 주제도 없었으면서도 오랜 시간 노닥거리고 나서는 매우 흡족해한다. 나중에 또 보자고 하게 되고 또 만나면 역시 그저 그런 잡담을 하게 된다. 그만큼 잡담을 통한 감성의 교류는 사람들을 무척 만족스럽게 만든다. 그 까닭은 잡담이 참여자들에게 ‘유대감’을 선사하기 때문이다. 잡담을 하고 나서 느끼는 뿌듯함은 사실 재확인된 유대감이 남긴 마음의 흔적이다. 그러나 잡담은 유효기간이 그리 길지는 않다. 가까운 사람들과도 자주 이야기를 나누지 않으면 공유하는 감성이 그리 오래가지는 않는다. 그래서 잡담은 자꾸만 잦아지고, 시간 낭비로 오해받기 쉽다.

그러면서도 잡담은 사람들 사이의 접착제 역할을 한다. 얼핏 보기에는 무가치한 언어 활동 같으면서도 공동체의 유대 의식을 형성하는 데에는 더없이 유용한 수단이다. 지금의 우리 언어가 형성되기까지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사람들이 잡담으로 그 기초 공사를 한 셈이다. 잡담은 모든 언어의 주춧돌이다.


김하수 한겨레말글연구소 연구위원·전 연세대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49513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1103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31May
    by 風文
    2024/05/31 by 風文
    Views 23 

    “산따” “고기떡” “왈렌끼”

  5. No Image 31May
    by 風文
    2024/05/31 by 風文
    Views 27 

    “사겨라” “바꼈어요”

  6. No Image 29May
    by 風文
    2024/05/29 by 風文
    Views 34 

    ‘Seong-jin Cho’ ‘Dong Hyek Lim’ ‘Sunwook Kim’

  7. No Image 29May
    by 風文
    2024/05/29 by 風文
    Views 65 

    어이없다

  8. No Image 10May
    by 風文
    2024/05/10 by 風文
    Views 439 

    주책이다/ 주책없다, 안절부절하다/안절부절못하다, 칠칠하다/칠칠치 못하다

  9. No Image 10May
    by 風文
    2024/05/10 by 風文
    Views 487 

    ‘Merry Christmas!’ ‘Happy New Year!’

  10.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509 

    ‘수놈’과 ‘숫놈’

  11. No Image 08May
    by 風文
    2024/05/08 by 風文
    Views 560 

    서거, 별세, 타계

  12. No Image 03Sep
    by 風文
    2021/09/03 by 風文
    Views 637 

    잡담의 가치

  13. No Image 13Oct
    by 風文
    2021/10/13 by 風文
    Views 638 

    말의 권모술수

  14. No Image 14Sep
    by 風文
    2021/09/14 by 風文
    Views 687 

    무제한 발언권

  15. No Image 14Sep
    by 風文
    2021/09/14 by 風文
    Views 687 

    군인의 말투

  16. No Image 08Oct
    by 風文
    2021/10/08 by 風文
    Views 698 

    정치인들의 말

  17. No Image 07Sep
    by 風文
    2021/09/07 by 風文
    Views 702 

    또 다른 공용어

  18. No Image 08Oct
    by 風文
    2021/10/08 by 風文
    Views 704 

    공공 재산, 전화

  19. No Image 10Sep
    by 風文
    2021/09/10 by 風文
    Views 710 

    법률과 애국

  20. No Image 13Sep
    by 風文
    2021/09/13 by 風文
    Views 736 

    악담의 악순환

  21. No Image 13Sep
    by 風文
    2021/09/13 by 風文
    Views 743 

    언어적 주도력

  22. No Image 10Oct
    by 風文
    2021/10/10 by 風文
    Views 754 

    상투적인 반성

  23. No Image 05May
    by 風文
    2020/05/05 by 風文
    Views 775 

    아무 - 누구

  24. No Image 10Oct
    by 風文
    2021/10/10 by 風文
    Views 796 

    어버이들

  25. No Image 13Oct
    by 風文
    2021/10/13 by 風文
    Views 811 

    고령화와 언어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157 Next
/ 157